노르웨이산 철광석 중국행 수송에 북극해 항로 이용

북극해를 가로지르는 유럽과 아시아간 물자수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올해 가을, 북극항로를 통해 노르웨이 시르셰네스(Kirkenes)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첫 철광석 수송이 계획되어 있다.

 

북극항로를 통한 막대한 양의 물자수송은 이미 그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노르웨이 바렌츠 사무국(Norwegian Barents Secretariat)의 관계자는 전했다. 2009년 여름, 쇄빙기를 장착하지 않은 2척의 독일 화물선이 북극항로를 통과했는데, 기후학자들은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에 얼음 없는 기간이 연장되면서 앞으로는 북극항로 이용이 한층 더 용이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편 시르셰네스 Sydvaranger 광산에서 중국으로 북극항로를 통한 철광석 수송을 준비하고 있다고 바렌츠 사무국 관계자는 전했다. 그리고 만약 이번 철광석 수송이 성공적으로 판명되면 더 많은 선박운송이 가능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북극해운회의, 북극항로 활성화 장애요인 지적

최근 몬트리올에서 열린 북극해운회의(Arctic Shipping Conference)에서 참가한 해운회사들은 최근 북극항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북극 운항은 아직도 매우 위험한 사업으로 당분간 이러한 상황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전망의 배경에는 북극 운항과 관련된 기반시설부족, 해저지도 및 항해지원시스템 부족을 꼽았다. 캐나다 퀘벡주의 누나빅(Nunavik) 선주들은 북극항로 이용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항구의 기반시설, 해저지도 및 항해지원시스템 등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북극항로는 이러한 기반시설의 미비로 인한 사고 발생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기반시설과 관련해서 누아부트 소재 이칼루이트(Iqaluit)항의 예를 들었다. 이칼루이트 항의 경우 항만 조명, 정박지 및 진입로 등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 항만작업이 연기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불충분한 북극 해저지도는 그 자체만으로도 “북극의 최대 이슈”가 될 수 있다고 얼음 전문가는 말하고 있다. 해저지도(charts)는 항해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항로를 보여주는 지도다. 그러나 북극해는 전체의 겨우 10%만이 지도가 작성되어 있고 현재 제작 속도로는 300년이 걸려야 전체 해저지도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캐나다 해안경비대에서 e-해저지도를 해결책으로 제시했는데 이에 대해 Desgagnes 해운회사 소속의 리차드 페론(Richard Perron)은 북극처럼 기본적인 통신만 가능한 지역에서는 이러한 e-해저지도는 무용지물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선박이 위험에 처했을 때의 위기 대응 능력의 부족도 지적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2009년 9월 25일 NEAS(Nunavut Eastern Arctic Shipping Ltd.)社의 Avataq선박이 시속 80km가 넘는 강풍을 만나 Salluit 인근 만으로 좌초되었던 사고를 예로 들었다. 사고 당시 예인선이 Avataq호를 Salluit로 인양했지만 예인선만으로는 선박을 안정화시키는데 충분치 않았다. Avataq호는 해안경비대 쇄빙선의 지원을 받기 위해 기다려야 했으며 쇄빙선은 선박수리가 무리되기까지 10일이 더 걸려서야 사고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었다. 이 선박사고는 생명을 앗아가고 환경에 위협을 준 재해정도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선주들은 만약 유류의 대량유출과 같은 사고가 일어났다면, 선박회사들이 가진 장비나 노하우만으로는 이를 해결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반적인 ‘문제해결능력’의 부족은 불확실한 북극환경을 고려할 때 북서항로 지역의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토론토에 기반을 둔 해양관련 전문 변호사인 마크 이삭(Marc Isaacs)은 극지해역 운항선박의 ‘안전기준(Polar Code)’ 및 항해 필요조건 시행에 대한 북극 주변국들의 다자협약을 체결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최근 멕시코만에서 발생한 석유시추시설 ‘딥워터 호라이즌(DeepwaterHorizon)’의 폭발과 원유유출사고를 교훈으로 삼아 북극개발과 관련된 새로운 규제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북극위원회 차관급회의, 기름유출 참사 예방조치 필요성 공감

북극위원회 고위실무회의(Senior Arctic Officials) 의장에 따르면, 북극위원회 설립이래 최초로 지난 지난 5월 27일 코펜하겐에서 차관급 회의가 개최됐다. 이번 회의는 현 의장국인 덴마크 주도로 이뤄졌다.

 

북극해 주변 8개국 차관들과 상시참여그룹(Permanent Participant) 및 옵서버 가입국들은 이번 회의에서 북극해의 미래와 관련된 주요 사안들을 논의했다. 또한 ‘북극해 긴급 현안에 대한 대응’이라는 주제로 시작된 회의에서 일부 회원국들은 ‘국제 극지관측의 해(International Polar Year)에 대한 후속조치 보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발생한 멕시코만 기름유출과 관련, 향후 북극해 석유탐사와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도 비중있게 다뤘다. 더불어 북극위원회가 추후 자원개발사업 수립시 이번 기름 유출과 같은 대형 참사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는데 회원국들은 동의했다.

 

한편 해상구조수색작업에 대한 요구 증가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었는데 특히 참가국들은 북극해 8개 주변국 간에 법적 강제력이 있는 협정이 마련되어 2011년 예정된 장관회의에서 각국 외무부장관의 승인을 받도록 해야 한다는데 만장일치로 동의했다.

 

해양구조수색작업과 관련한 협상이 현재 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한층 강화된 구조수색작업을 마련함으로써 앞으로 북극해를 항해하는 크루즈 선박 등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법적 강제력이 있는 국제북극법(InternationalPolar Code) 제정을 위해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의 역할에 대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더불어 블랙카본 및 오존과 같이 대기 중에 일시적으로 머물면서 북극의 기후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SLCF(Short-lived Climate Forcer) 및 북극기후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북극위원회 옵서버 회원국들의 역할과 함께 북극위원회의 목표를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달성하기 위한 방법도 논의됐다. 이 논쟁에서는 지속발전 가능한 북극의 미래를 위해서는 북극위원회의 리더쉽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강조되었다.

 

오바마 대통령, 북극 석유시추 전면 보류 지시

미국 버락 오바마 (Barak Obama) 대통령은 멕시코만 원유 유출 사고 이후 북극해에서의 석시추활동을 전면 보류할 것을 지시했다.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이번 기름유출 사고의 원인을 밝히고 보다 엄격한 해양안전 및 환경보호장치가 마련될 때까지 신규 석유시추활동이 금지될 것이라고 보도되었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와 같은 결정으로 알래스카 북부해안 유전지역인 노스슬로프(North Slope)에서 계획되어 있던 석유시추는 보류될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만 기름유출는 전세계적으로 북극 석유시추의 목적에 대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교육장관이자 사회당 당수인 크리스틴 할보르센(Kristin Halvorsen)이 하이노스(High North) 지역에서의 신규 석유시추활동을 강력하게 경고하고 나섰다. 그는 “멕시코만의 환경 대재앙은 많은 사람들에게 매우 강력한 인상을 남겨주고 있다. 즉, 우리가 다루는 문제가 ‘기름’일 경우, 수많은 안전규제와 최신기술만으로는 결코 멕시코만 원유유출과 같은 대재앙을 피해갈 수 없다는 것을 이번 사고가 시사해주고 있다” 고 언급했다.

 

중국 해양국 극지조사실, 북극 조사* 연구 강화

중국이 북극 조사 · 연구 및 탐사를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CAA(Chinese Arctic and AntarcticAdministration : 중국 해양국 극지 판공실)1)의 한 고위 관계자가 전했다. “북극해와 세계 기후변화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중국은 북극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탐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CAA 주임인 취 탄조우(Qu Tanzhou)가 차이나데일리(China Daily)에 전하며 그동안 중국은 일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북극 대한 조사 및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향후 중국은 관련국들과의 협력뿐만 아니라 독자적 탐사를 통해서도 북극연구 활동에 보다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전하면서, 북극은 전세계 미발견 가스의 30%와 미발견 석유의 13%가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들 자원은 세계자원이지 결코 특정 국가들만의 자원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유엔해양법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을 준수하는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중국도 북극 탐사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은 극지연구를 위한 쇄빙선을 신규 건조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극지 탐사를 위해 중국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쇄빙선은 스노우 드래곤(Snow Dragon)이라고 알려져 있는 ‘Xuelong’이 유일하다. 1993년 우크라이나에서 구입한 ‘Xuelong’은 현재까지 24회에 걸친 남극탐험과 3회의 북극탐사에 참여한 바 있다. 그리고 2004년, 중국은 노르웨이의 스발바르드제도(Svalvard Island)에 최초이자 유일한 북극과학연구기지인 북극황하기지(Yellow River Station)를 열었다.

 

중국의 북극정책과 관련하여 러시아의 동향을 보면, 올해 4월 야말로-네네츠 자치구(Yamalo-Nenets Autonomous Okrug)의 주지사인 드미트리 코비르킨(Dmitry Kobylkin)은 중국의 고위 관계자를 초청해 석유 및 가스 생산을 위한 협력을 논의했다. 그리고 그는 “러시아는 탄화수소 및 경미네랄, 북극해 항로, 농업, 혁신, 및 과학 분야에 있어서 중국 정부와 상호 호혜적이고 건설적인 협력을 추진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자료제공: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북극해*남북협력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