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스마트 해양수산 선도국가 실현’ 비전하에 ‘스마트화 전략 2.0’ 확대 개편

최근 해양분야 종사자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해수부가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을 통해 올해부터 ‘스마트 항만안전플랫폼’을 부산항에서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또한 정부는 동 플랫폼을 통해 항만 빅데이터 분석으로 잠재적 사고요인을 사전에 감지 후 제거하고, 항만 크레인에 설치된 영상인식장치로 노동자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항만 노동자와 항만 시설물 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해양수산부가 해양수산업의 신속한 디지털 전환과 함께 실질적인 업무 내용과 국민 일상의 스마트화를 위해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이하. 스마트화 전략)’을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이하. 스마트화 전략 2.0)’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해수부가 2월 1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스마트 해양수산 선도국가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스마트화 전략’을 ‘스마트화 전략 2.0’으로 확대 개편하여. △인프라 도입을 넘어 산업 현장과 국민 일상을 바꾸는 실질적인 스마트화 △국민 관심사가 높은 근로자와 해양수산 시설물 안전관리 강화 △범정부 디지털 전환에 맞춘 투자 확대와 내부 스마트화 역량 확보라는 3대 개선방향을 기반으로 신규과제를 발굴하여 추가하였다.
해수부는 ‘스마트화 전략 2.0’ 내 해상물류·해양·인프라·수산 4개 분야 12대 핵심과제가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매년 초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분기별로 점검할 계획이다.

 

해상물류, 24년 부산·인천항에 IoT장비로 입·출고, AI 활용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
해양, 22년 부산항에 스마트 항만안전플랫폼 시범 운영...전국 항만 확산

해상물류분야에서는 기존 과제인 자율운항선박 개발, 자동화·스마트 항만 구축, 컨테이너를 비롯한 물류자원 공유경제 플랫폼 완성 등을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글로벌 해상물류 경쟁을 선도하기 위한 선도 과제들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2024년까지 부산항과 인천항에 로봇과 사물인터넷(IoT) 장비가 입출고를 확인하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재고를 관리하는 스마트 물류센터를 구축한다. 또한 2025년까지 디지털 트윈으로 항만과 배후도시 교통 상황을 구현해 최적 운송시간과 운송경로를 운송사에 제공하고 물류 흐름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한편, 해상물류 스타트업기업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해상물류와 관련된 신기술을 항만과 실제 해역에서 검증할 수 있는 통합성능검증센터도 조성할 계획이다.


2023년까지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바다 내비게이션(e-Nav)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서비스 항목을 전자해도, 최적항로 안내 등 기존 항목에서 선내 모니터링, 도선 및 예선 지원까지 확대하고, 우리의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국제 표준 해상교통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국제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2025년까지 해상교통의 이정표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는 등대와 부표를 조류, 기상 등 해양을 관측하고 수색구조까지 지원하는 스마트 항로표지로 발전시킨다.


또한 해양분야에서는 항만 노동자 안전을 책임지는 스마트 항만안전플랫폼을 2022년 부산항에서 시범 운영한 후 전국 항만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동 플랫폼을 통해 항만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잠재적 사고요인을 사전에 감지한 후 제거하고, 항만 크레인에 영상인식 장치를 설치하여 노동자와의 충돌을 방지한다. 항만 시설물 안전관리에서는 2023년까지 전국 29개 무역항에 지하시설물 계측센서를 부착하여 지반 침하, 균열 등 이상 징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한편, 2026년까지 계측센서가 보내온 정보로 항만 디지털 트윈을 구현해 각종 정책·공사가 가져올 파급효과를 선제적으로 예측한다. 특히 2027년까지 여객선 안전관리를 위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여객선 입출항·접안 과정을 지능형 CCTV로 관제하는 스마트 연안여객선 안전운항관리 시스템도 도입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화 전략’에 포함되었던 사물인터넷(IoT) 기반 무인자율관측시스템과 해양전용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활용한 해양재해 예측시간 단축 (12시간→4시간) 및 IoT 장비를 활용한 해양환경 관리 등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인프라, 24년 공동 문서작업 플랫폼·메타버스 활용한 보고방식 도입
‘스마트화 전략 2.0’은 인프라 구축 등 하드웨어에 집중했던 ‘스마트화 전략’과 달리 행정·인력양성과 같은 소프트웨어까지 포괄하고 있다. 이에 인프라분야에서는 행정과 관련해서는 디지털 신기술을 기존 업무방식에 적극 적용해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업무방식을 도입한다. 2024년까지 공동 문서작업 플랫폼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보고방식을 도입하고, 업무 자동프로세스를 개발해 해수부 직원이 단순·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현장과 소통하고 정책고민에 전념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정책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해수부가 제공 중인 홈페이지, 앱(App) 등 온라인 서비스 전반을 재검토하여 유사·중복 서비스는 통폐합하고, 연계가 가능한 서비스는 연계방안을 도출해 실사용자 편의성도 향상한다. 이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정보공유 방식을 도입해 민원인이 각종 서류를 개별 기관에 별도 제출했던 행정절차를 한 기관에만 서류를 제출하면 개별 기관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는 원스톱 방식으로 개선한다.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이 가진 데이터를 종합한 ‘해양수산 데이터댐’을 2023년까지 구축하고 데이터도 지속해서 개방할 예정이다. 아울러 사이버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기반 관제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한편 해수부가 2019년 수립한 ‘스마트화 전략’은 지난 2년간 해상물류, 수산, 해양관측 등 해양수산 전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초석이 되었다. 우선 초고속무선통신망(LTE-M) 구축, 해양관측위성 천리안 2B호 발사, 해양수산 빅데이터 센터 및 거래소 설치 등 해양수산 디지털 생태계 구축을 위한 인프라를 마련하였고, 완전 무인 자율운항선박, CCTV에 기반한 인공지능 옵서버를 포함한 스마트 어업기술, 자동화항만 등 관련 기술 연구개발(R&D)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바다 내비게이션(e-Nav) 서비스도 본격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자율운항선박 실증선도 개발해 올해부터 실제 해역에서 본격적인 실증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러한 ‘스마트화 전략’의 초기 성과를 더욱 확산시키고, 최근 급변하는 정책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 추진전략을 수정하고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번 개편안이 나오게 되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