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동향분석 “수년째 답보상태, 中·日 경쟁대비 적극 정책 추진해야”

동북아 허브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산항 LNG 벙커링 터미널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3월 발표한 ‘동향분석’ 보고서 19호는 동북아 LNG 벙커링 시장 선점을 위해 중국, 일본 주요항만이 인프라 구축 등 관련사업을 앞서 추진하고 있는 반면, 국내 부산항의 LNG 벙커링 사업추진은 수년째 답보상태에 빠져 적극적인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10월 국제해사기구IMO가 2020년부터 모든 해역에서 선박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하기로 발표함에 따라 향후 전 세계 해운항만업계의 분주한 대응이 예상된다. 해운업계는 선박배출가스 저감 등 규제 준수를 위해 저유황유나 LNG 등 연료유 교체 및 후처리 설비Scrubber 설치 등 대안을 모색 중에 있으며, 특히 Maersk, CMA CGM 등 글로벌 해운선사들은 신조 선박 발주 시 LNG 추진선박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로테르담, 싱가포르, 닝보-저우산, 요코하마항 등 세계 주요 항만 역시 IMO 규제 시기 확정에 따라 LNG 벙커링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달리 동북아 물류 중심을 지향하는 부산항의 LNG 벙커링 사업추진은 수년째 답보 상태이다. 우리나라는 IMO 규제 결정 4년 전인 2012년 5월에 이미 LNG 벙커링 논의를 시작했다. 한국가스공사, 조선 4사, 에너지회사, 해운회사, 선급 등 14개 기관이 ‘LNG 벙커링 협의체’를 구성하였고, 2015년에는 부산항 LNG 벙커링 인프라 구축 민간사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술개발 및 사업화는 가시적 성과를 이루지 못한 채 실질적인 인프라 구축도 제안 입지에 대한 통항 안전성 논란 등 다양한 이견 발생으로 3년째 제자리걸음 중이다.

그 사이 일본, 중국 주요항만은 동북아 LNG 벙커링 시장 선점을 위해 인프라 구축 등 대응방안 수립과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2016년 12월까지 총 27차례에 걸쳐 정부, 지자체, 항만공사, 민간사업자 등이 참여한 검토회의를 갖고 요코하마항을 LNG 벙커링 거점으로 최종 결정하는 한편,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해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중국 역시 국가보조금 정책을 적극 시행하여 2015년말 기준 총 1,600척의 LNG 추진선박이 건조, 운항되고 있으며 LNG 벙커링 인프라 역시 장강 등 내륙수운뿐만 아니라 절강성 닝보-저우산항 등 외항선 서비스를 위한 연해 지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동 보고서는 “정부, 부산시, 부산항만공사, 민간사업자 등은 지혜를 모아 벙커링 기지 구축이 더 이상 지연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면서 “부산항이 입지한 동북아 지역은 향후 LNG 벙커링 시장이 본격 형성될 경우 주요 공급 거점으로 급부상할 전망이어서 중국, 일본과 함께 우리나라는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산항이 동북아 LNG 벙커링 공급 허브 경쟁에 대비함은 물론 LNG 도입방식 및 급유시설이 경쟁국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