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물동량, 0.4% 감소한 1,279만 1천teu처리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2016년 상반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이 총 7억 3,977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산항, 인천항, 울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8.1%, 4.2%, 4.1% 증가하였으나, 목포항, 광양항, 동해묵호항은 11.6%, 2.1%, 1.1% 각각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모래가 전년 동기 대비 17.5%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으며, 화공품, 유류도 각각 12.7%, 7.7% 증가한 반면, 유연탄은 9.3%로 크게 감소하였고, 자동차와 광석도 각각 7.4%, 2.4% 감소하였다.

비컨테이너 화물 처리 물동량은 총 5억 2,579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하였다. 부산항, 대산항, 인천항 등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목포항을 비롯한 광양항, 동해․묵호항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부산항은 기계류의 반입과 국내항간 유류 운송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산항은 이란 경제제재 해제로 인해 이란산 원유 수입 증가, 석유정제품 수출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하였다.

반면, 목포항의 경우 연안운송을 통한 자동차 반출입 및 수출물량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감소하였으며, 광양항도 철강 수요 감소로 인해 철강생산에 필요한 유연탄의 수입 감소와 철강 수출부진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화공품, 양곡, 기계류 등의 물동량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6%, 9.2%, 9.1% 증가한 반면, 유연탄, 광석, 자동차 등은 9.3%, 2.6%, 1.4% 감소하였다.

한편, ‘16년 상반기 전국 항만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우리나라 수출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인 1,279만 1,000teu를 기록하였다.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한 962만 3,000teu를 기록하였다. 다만, 감소폭은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6월 물동량은 전년 동월과 동일 수준을 유지하였다.

수출입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인 471만 8,000teu를 기록하였고, 환적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한 490만 5,000teu를 기록하였다.

환적 물동량 감소의 원인은 작년 상반기 미국 서안 항만노조 파업에 따른 부산항 물량 반사적 증가의 기저효과, 중국 및 유럽 등 주요국의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한 116만 3,000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1.5% 감소한 88만 4,000teu를, 환적 물량은 5.3% 감소한 27만 9,000teu를 처리하였다.

인천항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한 123만teu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인천신항 터미널 개장 및 중국, 베트남과 인천항 간 수출입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16년 상반기 기준 세계 10대 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1억 394만teu를 기록하였다. 세계 1위인 상하이항은 전년대비 1.0% 감소한 1,785만teu를 처리하였으며, 싱가포르항은 1,518만teu(5.1%↓)를 처리하여 2위를, 선전항은 1,144만 teu(1.0%↓)를 처리하여 3위를 기록하였다.

닝보-저우산항은 1,079만teu(2.8%↑)를 처리하여 4위를 유지하였으며, 부산항은 전년 동기(978만teu) 대비 1.5% 감소한 962만teu를 처리하여 5위를 기록하였다. 홍콩항은 6위를, 칭다오항은 7위를 기록하였다.

해양수산부는 상반기에는 물동량이 전년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세계 경제‧교역 개선, 파나마 운하 확장 등은 하반기 물동량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