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해운’ ‘해적’.. 해사산업의 현안 거시·미시적 논의

 
 
'SIMS 2011'은 오공균 한국선급 회장의 개회사에 이은 박민식 국회의원(지식경제부 위원회 소속)과 한장섭 한국조선협회 부회장의 축사로 개막한 뒤, 기념촬영후 DVB은행의 해운부문장을 맡고 있는 Mr. Dagfinn Lunde의 세계경제 현황과 전망 발제로 첫날 컨퍼런스가 시작됐다.
Dagfinn Lunde씨는 “미주 및 유럽의 통화가 아시아 통화에 비해 약해지고 있다”고 말하고 유럽이 재정위기와 이로인한 은행들의 위기상황이 리먼브라더스의 악몽으로 재현될 것인지에 주목하고 이같은 상황에서 ECA (공적수출신용기관)의 역할을 짚었다.

 


“향후 10년 오프쇼어 시장 수요 증가”
오공균 한국선급 회장은 ‘해운및 조선의 트렌드’을 통해 “과거 10년간 조선산업은 눈부시게 성장했으나 여러 가지 대내외 요인으로 인해 앞으로 10년을 장담할 수 없다”면서 선박 척수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특히 컨테이너선이 증가했다고 조선트렌드를 되짚어 보았다.

 

오 회장은 “10년 후 연평균 신조물량은 지난 1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감소할 것”이라며 “컨테이너, 탱커, LNG선 수요가 감소하는 반면 오프쇼어 시장은 석유, 가스 개발 투자, 고유가 및 에너지 관련수요 증가에 따라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했다.

 

특히 심해 원유 및 천연가스에 대한 수요 증가는 심해 석유 굴착용 플랫폼 건설용 신조 활동을 증가시킬 것이며 이 같은 플랫폼에 대한 운영 영역은 주로 아프리카 및 멕시코만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아울러 오 회장은 “조선업계의 미래현안은 IMO GHG요건, NOx 및 SOx 배출 규제, 탄소규제지역(ECA) 지정 및 친환경 기자재 및 녹색기술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시황 구조적 문제, 미래 예측 어렵다”
이어서 국제해운시장 관련 발제에 나선  ICAP Shipping Research James Leake 전무이사는 ‘드라이벌크시장의 메가 트렌드’라는 주제로 Dry bulk 시장의 거래경향과 규모에 영향을 미친 호주의 홍수, 지진, 쓰나미, 아랍정정 불안정 등 주요변수들에게 대해 짚어보고 주요 원자재별 시장동향을 설명했다.

 

그는 “현 벌크시황의 문제는 과잉투자와 고유가 등 구조적인 문제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것이어서 어떠한 모델을 적용해도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국과 인도의 원자재 수요과 공급상황에 주목하며 단기적으로 불안정한 시장의 동향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2017년까지 태양광의 캐퍼시티가 대폭 확대될 것이며, 그 시기에는 태양광의 가격도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시설투자에 대한 의사졀정을 내려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아-유럽 물동량 불균형 최소화 노력 필요”
‘글로벌 컨테이너선 시장-아시아지역’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그리스 Danaos Corporation사의 최고경영자인 John Coustas 사장은 컨테이너산업 성장의 세 가지 축을 ‘세계무역 성장’ ‘글로벌 아웃소싱’ ‘컨테이너 수송’이라고 설명하고, 공급측면에서 여객선 네트워크 시장의 둔화세와 재설계가 선박 공급 패턴 역학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또한 해운업계의 새로운 화두인 EEDI가 미래선박의 설계를 바꿀 규제이지만, 운항지표와 탄소세가 운항패턴과 실질적 공급을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Coustas 사장은 컨테이너운송 시장에서 아시아가 중심이 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아시아가 유럽과 미주 지역에서 수입물량이 늘어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균형 잡힌 무역은 선사들의 수익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조선 노동력 혁신과 품질경영에 집중해야”
권오윤 한국조선협회 국제협력부 부장은 ‘한국조선산업:글로벌리더로 성장’이라는 주제로 한국조선이 성장사를 개략했다. 1960년대까지 연안어선과 화물선 등 내수시장을 지향한 한국조선은 규모가 작았지만 1980년대 서구에서 아시아로 조선산업이 이동하면서 강자로 부상, 2002년부터 선박 제조 및 기술분야에서 세계 선두의 자리를 이어가고 있음을 설명했다.

 

또한 권 부장은 “현 세계 조선과 해운 시장은 세계 경제의 늦은 회복으로 발주물량 감소와 저 선박가 등 불확실성을 보이고 있다”고 말하고 “한국 조선업계는 올 상반기 신조물량 시작으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조금 더 노력해야 한다”면서 “비용증가로 하락세를 보이는 조선 노동력에 대한 혁신과 품질 경영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日조선 시설투자 부진, 대형프로젝트 수주 어려워”
SAJ의 Hiroshi Iwamoto씨는 ‘일본조선산업의 주목할 만한 성장’이라는 주제아래 엔화급등, 건조선종의 적정성, 지진영향 등에 대해 발표했다. Iwamoto씨는 엔화의 급등은 미달러화로 계약된 건조선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인해 생산품의 관점에서 조달, 생산까지 비즈니스 전략을 재편성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 조선시황을 시장수요를 상회하는 생산과잉 및 과잉발주의 호황 상태라고 진단하고 일본조선소는 현 발주분이 인도되기까지 시간이 있으니 두 가지 문제를 적절히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일본 조선소는 생산성에 있어서 기술적 이점을 넘어서는 생산을 늘리지 않고 그 수준 이상으로 시설 투자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생산력이 감소,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가 힘든 상태”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일본조선은 기술력은 있지만 대규모 생산시설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일본 조선소는 대규모 오프쇼어 프로젝트를 지향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본 대지진 문제와 관련, Iwamoto씨는 “핵발전소와 조선소는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다”며 후쿠시마 원전사태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중국조선 위협요소-IMO규제, 첨단기술·오프쇼어기술 부족”
중국조선정보센터의 Han Guang씨는 ‘중국조선산업의 도전과 성장’이라는 주제 아래 중국의 조선산업 생산량과 총 인도량, 최근 신조선 발주량, 2011년 상반기 시장점유율 등을 발표했다. 그는 “중국내 인건비 상승과 위안화 절상이 중국조선소의 이윤을 감소시키고 있다”면서 IMO의 새로운 규칙과 첨단기술 선박, 오프쇼어에 대한 기술적 경험부족이 중국 조선 산업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요인이라고 밝혔다.

 


‘SIMS 2011’ 둘째 날에는 환경과 선박보안 및 안전을 주제로 한 논문들이 발표됐다. 김철년 삼성중공업 전무는 ‘LNG-FPSO 기술’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김 전무는 “통합 LNG 솔루션은 LNG 생산설비를 오프쇼어로 설치, 안전성을 높이고 LNG 공급과정을 단순화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프쇼어 LNG 생산 및 저장 시설인 LNG FPSO는 천연가스로부터 LNG, LPG 그리고 기타 가스 농축으로 사전처리, 액화, 및 분리하며 각기 다른 탱크로 저장한다. 김 전무는 “LNG FPSO는 반드시 최고 수명치까지 운영돼야 하며 이는 튼튼한 탱크 시스템이 화물탱크의 안전을 개선하는데 쓰였던 이유”라고 설명했다.


김영선 현대상선 차장은 ‘녹색해운과 한국선사들’을 통해 녹색해운 관련 국제적인 동향을 설명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현대상선의 노력과 성과를 설명했다.

 

 

 
 
“IMO-GHG 배출감소 위한 강제 조치”
김만응 한국선급 녹색산업기술원 원장은 ‘선박의 GHG 감축을 향한 다음단계’ 발제를 통해 IMO(국제해사기구)의 GHG 관련 이슈와 녹색해운에 대해 개괄했다. GHG 배출 감소를 위한 강제 조치가 제 62차 IMO MEPC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 채택돼 MARPOL 부속서 VI에 등재됐다.

 

이는 국제산업 분야에서 최초의 국제 GHG 감축제도이다. 김 원장은 선박으로 인한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MARPOL 부속서 VI 규칙의 개정으로 앞으로 신조선박에는 EEDI(에너지효율설계지수)가 강제화되고 모든 선박에는 SEEMP(선박에너지효율관리계획)이 의무화된다며, 해사업계의 국제동향과 IMO 결과요약, 한국선급및 해운, 조선업계의 활동 등을 소개했다. 

 

 

“유가상승 환경규제로 부각된 원자력선 일지진에 묻혀”
도현선·이중남 두 삼성중공업 책임연구원은 ‘후쿠시마사태에 비춰 본 원자력상선 개발:조선소 시각’이라는 주제아래 원자력 연료에 대한 찬반논란과 관련, 해운 및 조선의 환경변화에 근거한 시각을 발표했다. 발표자는 ‘녹색선박’ 개발에 대한 열망을 가진 조선사들 사이에, 민간용 핵추진 선박에 대한 논의는 해묵은 사안이지만 꼭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자료에 따르면, 군사부문에서는 핵추진이 잘 사용돼온 반면, 민간에서는 최근들어 해운분야의 유가상승 및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비로서 동 주제에 대해 관심이 몰렸다. 그러나 올봄 일본 대지진으로 야기된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는, 원자력 선박에 대한 논의가 사라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날 발표자는 핵발전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 입장을 경계하는 견해를 밝히고, 해운분야에서 ‘제로배출(Zero emission)’이라는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핵과 같은 현재 사용가능한 기술을 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이같은 측면에서 발표자는 원자로 및 핵 추진원리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고 역사상 존재했던 민간용 핵 추진선에 대해 되짚은 뒤, 현재 개발 중인 중소형 원자로(SMR) 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Lars Robert Pedersen BIMCO 부 사무총장은 ‘해운산업의 녹색화를 겨냥한 IMO 규제에 부합하는 방법’이라는 주제 아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IMO 규칙은  녹색선박과 녹색운항을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LNG연료 상선 부각, 관련시스템 기술개발중”
서형균 대우조선해양 이사는 ‘LNG 연료선박의 개발’이라는 발제로 치솟는 유가와 강력한 탄소배출 규제 환경으로 인해 대형 LNG연료 상선의 실현이 부각되고 있음을 언급하고 LNG는 중유(FO)에 비해 경쟁력 있는 가격과 낮은 CO2, SOx, 그리고 NOx 배출이라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소형 규모의 LNG연료 선박이 이미 환경보호를 모토로 운항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선사에 있어서 대형상선의 LNG연료 적용은 최근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간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 이사는 대우조선해양이 VLCC, 컨테이너선, VLOC 같은 LNG연료 대형상선을 수년간 개발해왔고, 효율적인 고압 연료 가스공급 시스템은 그 개발성과의 하나라고 밝혔다. 또한 Man Diesel & Turbo는 올해 5월 세계 최초 대형 가스엔진을 선보였다고 밝히고 “LNG 연료 대규모 상선은 경제와 환경 측면에서 모두 강점이 있으며,    LNG 연료추진시스템의 필수기술은 이미 준비돼 있다”고 발표했다.

 

 

“LNG연료, 북유럽 여객선·정찰선 국한”
Tom Kirk ABS 엔지니어링부문 부사장은 ‘LNG연료화물에 대한 규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IMO 부속서 V와 기타 지역에서의 대기품질 관리, 잠재적 CO2 감축, 운항연료비 절약 등을 통해 시행되는 규제가 갈수록 심화됨으로써 선박동력 추진장치에 쓰이는 연료로서 LNG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LNG 화물을 연료로 연소하는 가스선을 제외하고 LNG 적용은 현재까지 북유럽에서 비교적 작은 여객선과 정찰선, 오프쇼어 지원선박 운항에 국한돼 있다”고 설명했다.

 


“201해적건 219건 07년의  4배 증가”
김영소 국토해양부 항행정보과 과장은 소말리아 해적에 대한 대응조치를 내용으로 발제에 나섰다. 김 과장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소말리아 연안에서 발생하는 해적행위 건수는 지난 4년간 급증했다. 2010년 해적의 공격건수는 219건으로 2007년보다 4배가 증가했다.

 

피랍 선박은 2006년 12척에서 2009년 47척, 그리고 2010년 49척에 달했다. 올해(2011년) 상반기에는 소말리아 해역에서 163건의 해적사건이 발생했고 21회의 피랍사건에서 361명의 선원이 피랍사고가 발생했다. 김 과장은 지난 5년간 한국관련 선박 10척이 피랍됐다고 밝히고, 한국정부의 반 해적행위 대응방안을 소개했다. 해군의 호송작전과 해적위험지역 24시간 모니터링, 전 선박에 선박보안경고시스템 (Ship Security Alert System) 장착 및 피난처 마련 등이 법률로 규정됐다. 

 

 

“아덴만해역 해적 상선·선원 위협”
Neil Quartaro Farley & Williams (New York) LLP 변호사는 ‘아덴만해역 해적에 대한 광범위한 대응조치’ 주제발표를 통해 아덴만지역 해적행위로 인해 상선과 그 선원이 위협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와관련 각국정부의 최근 대응은 군사적인 조치로 호송과 공해에서 해적 용의자 저지노력 등을 포괄해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해운업계의 대응은 크게 갈리는 상황이라며 국제 해양교통 체계 안에서 각기 다르게, 때로는 상충되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제는 군사력 배치도 해운업계의 최적관리기법 BMP(Best Management Practice) 자구노력도 아덴만의 해적행위를 막지는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