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를 포함한 항만물류협회와 컨공단, IPA, BPA, 수협은행 등 관계기관이 공동으로 국내 항만의 신규 시설투자 및 장비 교체시 투입되는 자금의 일부를 저리로 융자해주는 ‘항만하역장비 현대화자금 지원사업’이 그 출발과 함께 업계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이 사업은 하역사가 수협은행을 통해 3.28%라는 저리로 최대 장비가액의 75%까지 융자를 지원하는 한편 컨공단과 IPA, BPA 등은 자체 예산으로 수협측에 일정수준의 금리를 보전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세계 항만시장이 노동집약적인 산업에서 장치산업으로 탈바꿈해가는 과정에서 항만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장비의 현대화는 절실한 상황. 국내에서도 항만하역장비의 현대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러나 신규장비 투입은 기존 항운노조의 반발과 높은 이자율 등 경영수지 악화요인만 가중되는 등 각 업체에는 부담요인으로만 작용했으며 그로인해 시설투자에 소극적인 면도 없잖아 있었다는 게 업계의 이야기. 이번 장비도입 지원사업의 시작으로 인천·부산 등 각 항만하역업체는 신규장비 도입규모에 따라 수협측에 자금신청을 하는 등 하역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역업계의 권익을 대변하는 항만물류협회의 끈질긴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그러나 일부 항만공사는 이같은 지원사업에 시큰둥한 분위기다. 아무리 경기가 예전같지 않다고는 하나 자체 능력으로 충분히 장비조달이 가능한 기업이 대부분인데 굳이 이자액 지원이 필요한지 의문이라는 이야기. 뒤집어보면 돈 많은 기업을 대상으로 한정된 항만공사의 재원까지 투자하는 것은 껄끄럽다는 말이다.


상생이라는 말이 한때 유행이었다. 이같은 지원을 계기로 과잉투자는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필요투자는 촉진시킬 수 있지 않을까. 결국 신규투자로 인한 생산성 증대는 지역항만 전체를 관리·운영하는 항만공사에게도 득이 되어 돌아오는 윈윈전략인 셈이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