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60% 증가, 가구*완구류 물량회복 견인
 

아시아 주요 10개국 및 지역발 북미 동향의 올해 2월 컨테이너화물 물동량이 전년동월에 비해 32% 증가한 147만 1,988TEU로 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의 데카르트 데이터마인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물동량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아 침체됐지만 2019년 2월(124만TEU)에 비해서는 20%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가구와 완구류 등 재택근무 상황에 따른 수요품목이 물동량 회복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모선적지 기준의 실입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한 이 통계자료에 따르면, 북미동향 컨화물량의 최대 점유국인 중국은 동기간 60%(92만 2,405TEU)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2월 20% 감소했던 상황에서 반등해 크게 증가한 수준이다.


2위인 한국은 1% 감소한 13만 5,862TEU였으며 3위는 베트남(11만 4,901TEU)으로 21% 증가했다. 그 뒤를 대만(1% 증가, 6만 9567TEU), 싱가포르(1%감소 6만 2,613TEU), 인도(16% 증가, 4만 9,154TEU), 타이(13% 증가, 3만 4,907TEU), 일본( (44% 감소, 2만 2,351TEU) 등이이었다.


품목별로는 가구류가 27% 증가한 26만 5,605TEU, 전자전기류는 18% 증가한 10만6,766TEU, 완구 및 운동구류는 59% 증가한 6만 2,169TEU, 소비재 관련 품목이 크게 증가했다. 기계류는 5% 증가한 12만 5,177TEU, 플라스틱은 2% 증가한 8만 6,260TEU로 생산재 관련품목은 저조했다. 자동차관련 품목도 1% 감소한 5만 8,183TEU였다.


한편 올해 1월 미국발 아시아 주요 10개국 및 지역행 컨화물 물동량은 2020년 1월에 비해 13% 감소한 44만 353TEU였다. 국가별로는 중국행 화물이 23% 줄어든 1만 4,266TEU였으며 일본행도 11% 감소한 5만 2,203TEU였고 베트남행은 4% 증가한 4만 9,414TEU였다.


품목별로는 고지(古紙)가 20% 줄어들었고 플라스틱은 14% 감소했다. 특히 중국행 펄프 및 고지는 73% 감소했다. 목초와 콩류는 2% 증가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