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사고 30% 저감’ 목표...최적항로 추천 등 해양 안전 강화 기대

세계 최초로 선박의 안전 운항을 돕는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1월 30일부터 시행된다.

‘바다 내비게이션’은 자동차 내비게이션과 같이 선박운항자에게 해상교통상황과 사고정보, 기상정보 등을 제공하고 충돌‧좌초 등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바다 내비게이션’은 전체 해양사고의 약 84%를 차지하는 인적과실에 의한 선박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채택한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해상교통체계로, 실해역에서 시행하는 것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이다.

해양수산부는 2016년부터 5년간 ‘한국형 e-내비게이션 구축사업’을 추진하여 연안에서 최대 100㎞ 떨어진 해상까지 통신이 가능한 초고속 디지털 통신망을 구축하였다. 또한 전국에 9개소의 통신망 운영센터를 세우고 시범 운영하였으며,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서비스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2020. 1. 29.)’ 및 시행령(2021. 1. 26.) 제정, 스마트 해양교통정책 추진전략(2020. 8.) 마련, 단말기 보급 지원(2020. 10.) 등을 통해 서비스 시행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

아울러 작년 11월에는 해수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 28개 관련기관 간 국가통합공공망의 전파간섭 문제를 해소하고, 각 기관이 할당받은 무선자원 간 상호 연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협의도 완료함에 따라, 올해 1월 30일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3톤 미만 선박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바다 내비게이션)을 통해, 3톤 이상 선박은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목적지를 선택하면 바다에서 실시간으로 자동 업데이트되는 전자해도를 사용하여 가장 안전하고 빠른 최적항로를 추천해 준다. 또한, 항해 중 충돌 및 좌초위험이 있거나 교량을 통과하기 전에는 음성으로 안내하고, 기상(기상청 제공), 주변 선박위치정보, 사고속보, 양식장 및 어장정보 등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들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바다 내비게이션 전용 단말기를 통해 구조요청(SOS)을 보내면 바다내비게이션 운영센터로 영상통화가 자동 연결되며, 상선이 관제구역에 진입할 때는 관제실과의 초단파(VHF) 통신채널과 안전 주의사항 등을 음성으로 자동 안내한다. 또한, 전용 단말기로 선박 간 음성·영상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어선의 입출항 자동신고와 위치발신기능도 있어 단말기 하나로 브이패스(V-Pass)*와 지피에스(GPS) 플로터 등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어선장비도 더욱 간소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다 내비게이션의 운영 기반인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은 국가통합공공망과 연계되어 100㎞ 떨어진 해상에서 사고가 발생해도 신속한 대응과 수색구조 지원이 가능하고, 해군함정의 원격의료도 지원한다. 아울러, 전용 단말기와 앱(App)의 위치신호를 이용해 군·경에서 레저보트 밀입국을 예방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고, 여객선의 경우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에서 100㎞ 떨어진 해상까지 실시간으로 운항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유럽은 2010년부터 이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는데, 선박 운항자가 항로계획을 수립해서 육상에 보내면 육상에서 수심이나 항행경보 등을 보완하여 선박에 회신하고, 이러한 선박별 항로계획을 단말기를 통해 교환‧공유하면서 운항하는 형태이다. 현재 6개 센터에서 300척 선박을 대상으로 시험운영(위성통신기반, 통신료는 선사부담) 중이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개발을 시작했지만, 최적항로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음성으로 선박충돌 위험을 경보하는 등 차량 내비게이션과 같이 폭넓은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유럽 이내비게이션보다 기술적으로 더 앞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수부는 바다 내비게이션의 정교한 전자해도와 안전한 바닷길 안내 등을 통해 인적과실이나 선박의 충돌과 좌초 등으로 인한 해양사고를 30% 저감하는 데 기여하여 소중한 선원의 생명과 선박의 안전을 보호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단말기를 설치한 A 낚시어선 선장은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통해 항상 최신의 안전한 전자해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든든하고, 그간 최신정보 확인을 위해 매번 서비스업체의 방문을 기다려야 했던 부담도 덜었다”라며 “또한 그동안 여러 장비를 통해 확인해야 했던 주변 선박의 위치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되어 안전운항과 항로선택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홍순배 해수부 첨단해양교통관리팀장은 “시행 첫해인 올해에는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용을 목표로 애플리케이션과 전용 단말기 보급 등을 통해 이용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며, 지속적으로 선박 운항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보완이 필요한 기능은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제해사기구(IMO)의 디지털 기반 해상교통체계 채택을 계기로, 해수부는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2020년 9월 국제 콘퍼런스를 통해 유럽, 북미, 아시아태평양 지역 간 해양디지털 통합협력체계 출범에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우리나라와 유럽항로를 운항하는 선박에 이내비게이션 기술을 시험하기 위한 양해각서(한, 덴마크, 스웨덴, 호주, 중국 등)를 체결하고, 선박, 항만, 물류분야 간 디지털정보를 연계하는 국제정보공유체계(Maritime Connectivity Platform) 사무국도 운영(세종)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