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C 33척, 머스크 15척, COSCO와 에버그린 각 7척

컨테이너선박의 계선규모가 사상 최고에 달했다.
 

알파라이나에 따르면 2월 17일 기준 컨테이너선박의 계선규보는 총 374척 203만7,842TEU까지 확대됐다. 적재능력기준으로 볼 때, 운항정지 상태의 선박은 리먼쇼트 직후 2009년 152만TEU, 한진해운파산이 발생한 2016년 159만TEU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이다.
 

신종 코로나 감염확대에 따른 세계무역의 감퇴가 최대요인이지만 중국조선소에서 스크러버 탑재공사의 지연이 발생하면서 서비스 복귀가 뒤로 밀린 영향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월 20일 기준으로 컨선의 계선은 약 140만TEU였으니 약 1개월만에 계선선박이 45%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아울러 전세계 컨테이너선대에서 차지하는 계선비율은 8.8%로 집계됐다. 초대형선의 준공이 계속되면서 2009년 최대치인 11.7%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컨선의 계선이 확대된 가장 큰 요인은 구정 대목에서 물량이 줄어든데 따른 선사들의 서비스 결편이며 여기에 신종 코로나 감염확대에 따른 중국의 생산활동이 급격히 저하되어 중국발팍의 수송수요가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과거 3주간 유럽항로와 북미항로에서 30-60%의 수송능력 감축이 단행됐다. 

중국에서의 생산활동은 서서히 회복되고 있지만 정상적인 출하상황으로 돌아올 때까지는 수주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때문에 선사는 3월말까지 일정량의 결편을 지속할 가능 성이 높다. 
 

스크러버 탑재 관련 운항을 멈춘 선박은 과거 최대 111척・102만TEU이다. 계선 전체 선박의 절반에 가깝다. 2월 들어서 25척이 중국 야드에 입거되어 이 기간 공사를 마치고 야드를 떠난 선박은 15척이며, 기존선박의 개조공사 수요가 야드의 처리능력을 넘어선 실정이다. 코로나 문제로 근로자들의 직장복귀에 시간이 더 걸리면 중국 수리야드의 처리능력을 더욱 저하시킬 가능성 있다. 
 

운항선사별 계선척수는  MSC 33척, 머스크 15척, COSCO와 에버그린 각 7척 이다. 특히 MSC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동사의 1만9,438TEU급 ‘MSC ERICA’의 불가동 기간은 이미 175일에 달한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