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7일 부산 롯데호텔서, 한국해양대 ‘해양안전포럼’ 첫 개최

‘융합형 해양안전전문가 양성사업’ 성과공유 통한 해양안전문화 확산 기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운항선박의 운용을 위해 관련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라고 해양안전포럼에서 김원욱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교수가 제언했다. 김 교수는 “자율운항선박은 기존 선박과 혼용되어 운항하는 형태로 지속될 것이며, 자율운항선박 운용을 위한 육·해상 전문인력양성은 반드시 필요하나 인력양성에 대한 계획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고 지적하고 “자율운항선박 해양전문인력을 양성함으로써 해기사를 재고용 하는 등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해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로 ‘해상 승선 및 육상 원격 관제 전문인원 양성’ ‘원격 수리 및 시스템 통합관리 전문인원 양성’ ‘전문 교원 양성’이 수반될 것”이라며 설명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고 한국해양대가 주관한 ‘융복합 해양안전전문가 양성을 위한 해양안전포럼_We(Wie) SOS KOREA’(이하.해양안전포럼)이 1월 17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해양클러스터 기관과 해양 관련 기업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 처음 개최됐다.

이번 ‘해양안전포럼’에서는 국립대학 육성사업 추진과제인 특화전략 및 발전모델 구축과 관련하여 대학자율사업인 ‘융합형 해양안전전문가 양성사업’의 성과가 발표되고, 해양안전문화확산을 위한 그동안의 성과가 공유됐다. 또한 해양도시 부산이 해양산업 안전성을 강화하고 해양안전문화를 선도하기위한 미래 해양인력 양성-활용방안을 함께 논의하기도 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해양대학교 서동환 기획처장의 ‘국립대학육성사업 대학자율사업 ‘융합형 해양안전전문가 양성사업’ 성과발표’을 시작으로 현재 양성사업의 진행상황을 살펴본 후, 한국해양대 해양경찰학과 이은방 교수가 좌장이 되어 ‘부산광역시 해양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인력양성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로,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김원욱 교수의 ‘4차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미래 해양인력 양성’과 해양환경공단(KOEM) 한상구 차장의 ‘해양오염 분야 전문가 양성방안’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또한 The Korea Salvage 류찬열 대표의 ‘해난 구조분야 현황과 과제’라는 초청강연과 한국해양대학교 김진권 교육혁신위원장과 부산해양경찰서 류찬열 서장의 주제토론이 이어졌다.

도덕희 한국해양대 총장은 “해양수도 부산이 세계적인 해양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해양안전문화가 바탕이 돼야 한다”라면서 “해양안전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양성해 부산의 해양안전 분야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자율운항선박 해양전문인력 양성해 해기사 재고용 등 일자리 창출 효과 기대”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김원욱 교수의 ‘4차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미래 해양인력 양성’이란 주제에서는 해양분야 제4차산업혁명과 해양전문인력의 변화에 관련된 제언이 주를 이뤘다.

김 교수는 주요 4차산업혁명기술로 △AI △자율주행 △드론 △자율운항을 꼽으며, “4차산업혁명은 IoT와 AI를 기반으로 사람, 사물, 공간을 연결하고, 산업구조와 사회시스템을 혁신시킨다”고 강조했다. 또한 해양분야의 4차산업혁명으로 해수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2019년 10월 ‘자율운항선박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확정하며 올해부터 2025년까지 약 1,603억원을 투자해 ‘상황인식기술’ ‘원격제어기술’ 자율운항기술‘ ’운항조종기술(충돌방지)‘ 등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해양분야에 4차산업혁명기술을 접목한다면, 선박에 의한 해양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운용비를 절감하거나 이윤을 증대시킬 것”이라고 4차산업혁명기술의 이점을 설명했다.

이어 VR·AR을 기반으로 한 미래 융합형 해양안전교육에 대해, 교육방법으로는 △VR기반 해양안전교육 △미래 해양안전교육 △해양관련 4차 산업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미래 융합형 해양안전교육로 ‘소화훈련’과 ‘퇴선훈련’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미래 융합형 해양안전교육은 안전교육대상자에게 맞춤형 가상현실을 제공하고, 실제 사고 발생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가상현실을 통해 반복훈련 및 긴급상황 대처훈련을 하여 교육훈련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 설치된 VR 안전훈련장비를 통해 가상현실로 선제적으로 훈련함으로써 빠른 임무 숙지와 교육의 효율성이 증대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또한 김원욱 교수는 앞으로 VR·AR, 선박 AI, Big Data 등을 기반으로 미래 융합형 해기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해 미래 해양상황에 부합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자율운항선박은 기존 선박과 혼용되어 운항하는 형태로 지속될 것이며, 자율운항선박 운용을 위한 육·해상 전문인력양성은 반드시 필요하나 인력양성에 대한 계획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라 지적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운항선박 운용을 위해 관련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그는 자율운항선박 해양전문인력을 양성함으로써 해기사를 재고용 하는 등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해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로 ‘해상 승선 및 육상 원격 관제 전문인원 양성’ ‘원격 수리 및 시스템 통합관리 전문인원 양성’ ‘전문 교원 양성’이 수반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이에 따른 자격제도를 개발하기 위해 실제 운항을 위해서 자격제도 신설이 반드시 필요하며 해상, 육상, 원격수리, 시스템 통합관리 등 전문인원에 대한 자격제도가 필요하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끝으로 김 교수는 “세계적 미래 해운의 추세인 자율운항선박 출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운용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이를 통해 신규 인자리 창출과 자격제도를 체계적으로 연계해야한다”고 당부하며 발표를 마쳤다.

“해양오염예방 관련 교육대상 확대하고 예비 해기사 교육과정에 포함해 내실화 시켜야”

이어 해양환경공단(KOEM) 한상구 차장이 ‘부산시 해양안전을 선도하는 해양오염분야 전문가 양성방안’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한상구 차장은 해양오염사고 추세와 발생원을 분석하며, “해양사고는 ‘선박기인’이 84.9%로 가장 많으며, 해양사고시 오염물질 유출량 또한 ‘선박기인’이 72.4%로 가장 높았다. 또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발생한 해양오염사고 건수를 조사했을 때, 2014년 사고발생 215건으로 가장 적었으나, 그 이후로 꾸준히 상승하여 2018년에는 288건이 발생하였다”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 더불어 그는 해양오염사고 발생원인을 2011년부터 고의와 부주의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꾸준히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한 차장은 해양안전-해양오염분야 확보를 위한 중점적인 고려사항으로 △사전예방 강화(Prevention) △사고발생시 신속한 대응태세 구축(Response)를 제시했다.

먼저 그는 사전예방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가장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특히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직무기술 및 종사자 안전의식을 고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 차장은 “국적선에 의한 사고는 2014년을 저점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해양오염방지관리인제도를 비적용한 선박사고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8년에는 169건을 기록하였다”고 지적하며 “실습 위주의 안전교육을 실시함에 따라 현직 선원들의 해상 생존 지식, 선상소화 지식, 비상대응 리더십의 정도는 개편 이전 교육 때보다 큰 폭으로 향상했다”고 교육훈련으로 사고율이 감소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더불어 그는 선원 등 법적 제도권 밖 해양종사자에게 해양오염예방을 위한 교육이 미흡하다며,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대상을 확대하고, 전문기관 협업 프로그램으로 예비 해기사 교육과정에 해양오염예방 및 위기대응교육을 포함해 내실화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한 차장은 사고발생 시 신속한 대응태세를 구축(Response)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제 및 사고수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해양용 드론과 수면드론_무인 유회수기 등의 연구개발을 강조했다. 그는 “해양용 드론을 이용해서 기름 및 유해물질(HNS) 유출 지역에서의 정보수집을 할 수 있게 되며, 무인 OSRV로 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며 “해상방제에서 기계적 작업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스마트 방제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 대형구난업체 육성관련 인식전환 필요해”

The Korea Salvage 류찬열 대표는 ‘해양안전분야(해난구조) 현황과 과제’를 발표하며 손해보험사와 선사의 대형구난업체 육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류 대표는 △M/V FUPING YUAN △M/V HEUNG-A DRAGON △세월호 △M/T PRESTIGE 침몰 및 해양오염사고와 △M/V PACIFIC CARRIER 충돌사고 △M/T Maritime Maisi 화재 및 폭발사고 등 사례연구를 통해 현 상황을 설명하며, “민난 구난업체의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2011년 기준으로 유럽국가는 ETV(비상 견인 선박. Emergency Towing Vessel)를 스페인은 14척, 독일은 8척, 노르웨이는 7척, 프랑스는 5척, 스웨덴는 3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민간 구난업체 또한 다수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인근 국가인 중국은 Yantai와 Shanghai Gwangzhou Salvage 두 척을 보유하고 있고, 일본은 국가 소유의 Nippon Salvage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에 한국은 한 척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류 대표는 “선박의 대형화, 특수선화에 대응하고, 해외 구난회사의 의존을 탈피하기 위해 국내 대형 구난회사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국내 주요항구에 ETV을 배치해 신속한 현장파견을 실시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형참사를 예방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구난 작업의 공익성을 가지고 국가 차원의 구난조직이 필요하며, 손해보험사와 선사의 대형 구난업체 육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그에 대한 방안으로 일본의 Nippon Salvage를 벤치마킹한 수혜자 부담 원칙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