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수출입 물류 인프라 연계 강화 등 4개 전략 12개 과제 제시
2030년까지 세계 수출입물류 경쟁력 순위 10위권 진입 목표


해양수산부가 육해상 물류의 연결점인 항만을 중심으로 IT 기반의 4차 산업혁명기술을 수출입 물류 전반에 적용하여 물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출입 물류 인프라 연계 강화 △데이터 기반 물류 스마트화 △스마트 물류 인력 △기업 양성 국제 디지털 물류 환경 주도 4개 전략과 12개 과제를 마련하여 우리나라의 수출입물류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정부는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2월 20일 ‘제 101차 국정현안점검조정 회의’를 열고 해양수산부의 ‘수출입 물류 스마트화 추진방안’을 심의확정했다.

최근 온라인 무역이 급증함에 따라 물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예측 및 사전배송 등의 데이터 기반물류 서비스가 발달하고 있으며, 독일, 싱가포르, 네덜란드 등 주요 선진 물류 국가를 중심으로 4차 산업 혁명기술을 접목한 물류 효율화가 진행되고 있다.

반면 Wold Bank의 2018년 기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무역의존도는 70.4%, G20국가 중 수출의존도 3위, 수입의존도 4위, 전세계 167개국 중 수출입 물류 경쟁력 25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는 무역 의존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물류 주체와 설비 간 연계작업의 비효율, 물류 데이터 수집분석에 기반한 물류 효율화 체계 미흡 문제 등으로 인해 수출입 물류 경쟁력은 선진국에 비해 뒤쳐져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현재 25위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우리나라의 수출입 물류 경쟁력을 2030년까지 세계 10위권 내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수출입 물류 인프라 연계 강화 △데이터 기반 물류 스마트화 △스마트 물류 인력 △기업 양성 국제 디지털 물류 환경 주도 4개 전략과 12개 과제를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항만자동화지능화, 터미널 간 연계효율화, 항만-선박-육상 연계 운송 효율화
먼저 해수부는 항만 자동화·지능화, 항만 내 터미널 간 연계 효율화, 항만선박육상 연계운송 효율화를 통해 수출입 물류 인프라 연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항만 자동화기술 자체적 개발로 우리나라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단계적 도입을 추진한다. 또한 크레인, 야드트랙터 등 하만 내 장비의 실시간 위치상태, 작업정보를 수집·분석하여 터미널 운영사가 최적의 항만 운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항에는 터미널 간 환적화물과 빈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순환레일을 설치하고, 이에 필요한 서류 작업은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처리하는 터미널 연계 효율화 사업을 추진하여 환적 등을 위한 시간과 비용, 혼잡도를 줄인다. 아울러 터미널 운영사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빈 컨테이너 공유장치장을 설치하고, 수요공급 매칭 플랫폼을 제공하여 운영사 간 빈 컨테이너의 수급 불일치 문제를 해소할 예정이다.

또한 선박과 트럭에 항만 이용가능시점과 하역 완료시점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하여 항만 대기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된다. 아울러 육해상 간 물류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는 항만 자동 하역시스템, 국토교통부는 컨테이너 셔틀레일을 맡아 연계 모델 개발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두번째 전략은 데이터 기반 물류 스마트화를 구현하기 위해 △공공 물류 데이터 신뢰도 및 활용도 제고 △공공 물류 데이터 간 연계 활용 △공공·민간 물류 데이터 연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해수부, 관세청, 터미널 운영사 간 데이터의 교차검증 등 데이터 품질관리를 통해 항만 물류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고, 항만 내 실시간 화물처리 상황과 검역, 통관정보 등이 함께 공유되는 항만정보 통합플랫폼을 도입하는 방안도 관계부처와 함께 검토한다. 또한 현재 국토부에서 검토 중인 ‘육상물류데이터 플랫폼 사업(예비타당성조사 진행 중)’이 추진되면, 항만물류데이터 플랫폼과 연계하는 방안도 추진될 계획이다.

아울러 공공의 물류데이터에 민간의 물류데이터가 더해지는 공공·민간 연계 물류플랫폼 구축도 추진하여 물류 데이터 기반 신규 비즈니스 발굴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로테르담항은 선사, 항만공사, 세관이 화물입출항, 하역작업, 통관 정보 등을 플랫폼에서 제공하여 항만 이용 주체 간 항만 내 작업 현황을 공유하는 비용을 연간 약 2.5유로를 절감한 성과를 이뤄냈다. 국내에서는 A사가 기계장비류에 특화되어 수출입 실적이 많은 운송 대행업체의 서비스 및 비용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계장비 제조수출업체에 사전 견적 계산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빠른 수출계약 및 화물 운송 계약을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 물류인력 기업 양성...영세물류기업 디지털화 지원
세번째 전략은 스마트 물류 인력․기업 양성을 위해 △IT 융합형 물류인력 및 선원인력 양성 △종합적인 창업지원 체계 구축 △영세 물류 기업의 디지털화 지원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선박·항만 등 물류 인프라의 자동화·지능화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물류 인력·선원 인력의 역량을 파악하고, 관련 교육과정과 전문 자격제도 도입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신규 창업 아이템 개발부터 전문가 컨설팅, 유망 사업 아이템에 대한 기술개발 고도화, 홍보·판로 지원 등 물류 스타트업 창업을 위한 모든 단계를 종합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로테르담항의 PortXL 프로젝트는 스타업 공모부터 창업지원, 판로지원까지 연결하여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좋은 성과를 냈다.

한편 디지털화의 투자여력이 없는 영세 물류 업체도 데이터 관리나 플랫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민‧관 합동으로 기업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담팀(TF)을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마지막 전략은 ‘국제 디지털 물류 환경 주도’를 위해 △종합적인 민·관 협력체계 구축 △국제표준 및 국제법·제도 수립 참여 △국제적인 첨단 물류 인프라 테스트베드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조선, 기자재, 선급 등 수출입 물류 인프라 관련 민간 협의체와 해운, 유통, IT 업체 등 물류 데이터 관련 협의체와의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수출입 물류 스마트화를 위한 정책을 발굴할 예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자율운항선박과 지능형 해상교통시스템 등 첨단장비와 물류데이터에 관한 국제 표준의 제·개정 논의에 적극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선도하고 있는 e-내비게이션과 관련한 국제적인 거버넌스 체제를 자율운항선박과 항만, 해사서비스 등을 포괄하는 확대된 거버넌스 체제로 전환하고 해당 서비스를 실제 해역에서 연계 실증하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또한 각종 기술표준에 대한 국제인증을 전담하는 센터를 중심으로 국제해상디지털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계획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추진방안을 통해 2025년까지 △선박의 항만대기시간/트럭의 화물 반‧출입 소요시간 50% 감축 △환적비용 40% 감축 △물류 스타트업 300개 창업 및 일자리 1,000개 창출 등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수출입 물류 스마트화 추진방안’은 세계적인 통상국가인 대한민국의 위상에 걸맞는 수출입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이번 방안이 차질 없이 추진된다면 수출입 물류 경쟁력은 물론,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