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대형 국가재난에 대비해 선박과 항만을 이용한 세부 긴급물자 수송 및 구호활동 지침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최근 발행한 ‘KMI 동향분석 75호’에 따르면, 국가재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발생한 포항 지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재난현장에서의 생활필수 물자부족과 위생문제 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됐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재해 복구 및 지원을 위한 거점의 지정 및 기능별 거점을 구축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일본의 경우 기능별로 6개의 거점(방재거점)을 분류, 지정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임해부거점방재메뉴얼에 따라 대규모 재난 발생 시에 긴급물자 등의 수송기능을 확 보하기 위한 대책으로 긴급물자를 반입하기 위한 안벽, 긴급물자의 분류·임시보관을 할 수 있는 공간, 배후지역으로 수송하기 위한 수송로를 확보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선박 및 항만시설을 활용하여 대응하고 있으며, 도로유실시 원활한 구호, 복구 물품의 공급을 위해 항만의 내진강화안벽을 이용하며 재난 복구를 위한 지휘소, 숙영, 기자재 적치, 연료 보급, 임시 숙소, 피난지, 긴급 물자의 임시 보관·분리를 위한 공간 등 구원·복구를 위한 각종 활동의 거점으로 항만 녹지 등의 열린 공간을 활용한다.

항만시설을 활용한 재난대응 뿐만 아니라, 선박을 활용하여 물자의 수송, 대피소, 숙영지, 의료를 위한 병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구호물자, 복구장비 등의 제공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피난장소, 응급의료시설, 급식시설 및 주민의 운송을 위한 수단 등으로 다양 하게 선박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동 보고서는 우리나라도 지진 등 대형 국가재난에 대비해 항만 등을 재해방재거점으로 지정해야 하며, 선박과 항만을 이용한 세부 긴급물자 수송 및 구호활동 지침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