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2,547kl 유출, 오염피해 줄이려는 국내외 ‘방제손길’ 
태안·서산 11개읍 473개 어장 피해, 4개면 15개 해수욕장 피해
해외전문가, 자원봉사자 복구노력 통한 ‘빠른 방제’에 감동 표현 

 

구랍 7일 충남 태안군 만리포 북서방 5마일 해상에선 12년전 발생했던 ‘씨프린스’호 유류사고의 악몽을 재현한 끔찍한 사건이 발생했다. 예인선 삼성 T-5와 삼호 T-3에 의해 예인되던 부선이 예인삭 절단으로 표류되어 대산항 도선사 대기묘지에 투묘 중이던 유조선 ‘허베이 스피릿’호와 충돌, 태안에 원유 1만 2,547kl를 유출하는 대재앙이 터진 것이다.


 

이로인해 태안군과 서산시의 11개읍과 473개 어장이 피해를 입었으며, 인근 4개면의 해수욕장 15개소에도 원유가 흘러들어가는 사상 최악의 피해를 입혔다. 사고선박에 대한 처리는 ‘허베이’호의 파공부위에 대한 수리가 구랍 11일 저녁 완료되었고 잔존유 이적작업도 같은날 비슷한 시간에 완료되었다. 인공위성에 찍힌 태안 부근의 시꺼먼 기름띠는 태안 사고의 심각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중국, 일본, 싱가폴 방제 지원
유출된 원유의 양이 워낙 많은데다가 바람이 많은 겨울철이어서 피해지역은 예상보다 확대되었다. 방제당국은 가능한 방제선박(해경 45척, 해운 16척, 민간 116척, 방제조합 등 30척)과 헬기(5대)를 모두 동원해 방제에 총력을 기울였고 조금이나마 일손을 보태고자 한 단체와 개인 자원봉사자들의 도움도 끊이지를 않았다. 방제를 위한 유흡착포 부족에 중국이 55톤의 유흡착포를 지원했고(12월 17일), 싱가폴은 방제항공기를 지원했다. 일본의 오염조사단과 국제방제전문단도 현장을 방문, 조사하고 2차 오염방지를 위한 조처를 요청하기도 했다. 미국에서도 연안해안경비대를 파견하는 등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원도 잇달았다.  

 

‘허베이 스피릿’호 사건의 피해와 보상규모는 아직 구체적으로 산정할 수 없지만 ‘씨프린스호’의 피해를 능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해수부를 비롯한 해양경찰청, 방제조합, 중앙해심원 등 관계자들은 사고당일부터 줄곧 태안 사고현장에서 기거하면서 사고조사와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민·관 한마음 방제노력 ‘제 3의 기적’ 평가
이번 원유유출은 최근 세계적 이슈인 환경보호와 관계된 사고여서인지 사고원인 규명과 피해보상처리는 전문가들에게 맡기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데 민·관이 하나가 되어 방제에 나섰다. 각종 단체와 회사의 자원봉사가 잇달았으며 당장 방제작업에 필요한 비용으로 쓰여지기를 바라는 따뜻한 마음의 성금도 속속 전달되었다. 


해운업계에서도 선주협회에서 자원봉사자를 모집, 구랍 17일 1박 2일 일정으로 태안방제를 도왔고, 해양대학 CEO모임에서도 10여개 선사에서 자원봉사자가 적은 평일 방제활동을 도와 기름제거에 힘을 보태는 모습이었다. 주말에는 4만명이 넘는 자원봉사자들이 태안 일대 곳곳을 찾아 방제를 하는 모습은 우리 민족의 고난과 위기를 극복하는 ‘단결된 모습’을 다시한번 확인하는 기회이기도 했다.


12월 20일까지 방제에 참여한 인력은 총 29만 8,000여명. 모래사장과 생활환경 주변은 주민과 자원봉사자 위주의 청소가, 갯바위나 암반 등 보이지 않는 곳이나 위험한 지역은 군 특수부대가 투입되어 방제작업을 진행했다. 구랍 19일 17대 대선일에는 해수부 공무원들이 대거 자원봉사에 참가하기도.


태안의 유류오염사고에 전문적인 조언을 위해 방한한 해외방제 전문가들은 자발적인 자원봉사자들의 일손을 ‘감동적’이라고 표현하며 사고피해의 규모가 크지만 방제작업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한국의 ‘제3의 기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유류오염사고방지과 안전관리 강화 필요
어민들에게는 생활의 터전이었고, 도시인들에게는 아름다운 휴양지이자 믿을 만한 먹거리를 제공해온 충북 태안 해안가를 기억하는 이들이라면 이번 유류오염사고를 남의 일로 여길 수 없었을 것이다. 또한 환경보호와 생태계 보존에 대한 국민적 인식의 향상이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의 발걸음을 태안으로 이끌었을 것이다.


방제작업이 마무리되면 태안 원유유출사고는 원인규명과 피해보상 문제가 본격화된다. 이번 사고 역시 人災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예부선들의 안전의식 결여와 유조선의 이중선체 조기화 등 다시금 제도적으로 짚어야 할 문제들이 있다. 死後藥方文이라 할지라도 이번 사고를 통해 정부는 한단계 업그레인드된 유류오염사고 방지대책을 마련하고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지도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번 사고에 따른 해양오염의 영향을 조사· 평가하고 환경복원기술을 개발하는 등 방제후 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