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그룹이 8월 28일자로 보도자료를 통해 한진해운 법정관리 위기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혔다.

<전문>

해외 금융기관도 한진해운 살리기 동참하는데...
법정관리 피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1. 한진해운, 선박금융 유예 사실상 마무리 단계… 용선료협상도 완료 눈 앞

○ 8월 27일 오전 독일 HSH 노르드 방크, 코메르쯔 뱅크, 프랑스 크레딧 아그리콜 등 해외 금융기관에서 해운 선박금융 채권 상환유예에 대한 동의 의사를 한진해운에 전달해왔습니다. 산업은행 보증이 없을 경우 상환유예가 불가능하다고 밝혀왔던 기존 입장을 철회하고, 한진해운 살리기에 동참한 것입니다.

○ 이들은 한진해운의 해운 선박금융 채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해외 금융기관들로, 이들의 상환유예만으로도 약 1,280억원의 자금 조달 효과를 볼 수 있게 됐습니다. 더욱이 이번 결정에 따라 타 해외 금융기관들도 동참하겠다는 의사 표명이 이뤄지고 있어, 총 4,700억원의 자금조달 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 또한 용선료 조정 협상에서도 마지막까지 난항을 겪던 최대 선주사인 시스팬이 산업은행의 동의를 조건으로 용선료 조정에 합의하면서, 타 용선료 협상까지 완료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약 8,000억원의 자금 조달 효과가 발생하게 됐습니다.

○ 이에 따라 한진해운은 용선료 조정에 따른 8,000억원, 선박금융 유예를 통한 4,700억원 등 총 1조2,700억원에 달하는 유동성을 조달하는 효과를 보게 됐습니다.

2. 사력 다 한 한진그룹 자구안... 조달 가능한 최대한의 내용 담아

○ 한진그룹은 한진해운 유상증자 시 대한항공의 4천억원 유상증자 참여, 추가 자금 필요시 그룹 계열사의 자금 지원과 조양호 회장의 유상증자 참여를 통한 추가 1천억원 등 총 5천억원에 달하는 자구안을 제출한 바 있습니다. 유상증자 4천억원 이외에 2017년 7월 기준으로 자금이 부족한 상황일 경우 그룹 계열사의 자금 지원과 조양호 회장의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1천억원을 지원하게 됩니다.

○ 이번에 제출한 자구안은 한진그룹으로서는 조달 가능한 최대한의 내용입니다. 한진그룹은 이미 2014년 최은영 회장으로부터 경영권을 넘겨 받은 이래로 1조2천억원을 지원했고, 이번 자구안을 포함할 경우 그룹 차원의 지원 규모는 1조7천억원에 달합니다.

○ 현재 한진그룹은 재무적으로 녹록한 상황이 아닙니다. 대한항공의 경우 올해 2분기 기준으로 부채비율이 1,100%에 달합니다. 따라서 5천억원 이상의 지원은 무리입니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진그룹은 국가 기간산업인 해운산업을 살리기 위한 일념으로 이 같은 규모의 자구안을 제출한 바 있습니다.

3. 국가기간산업인 해운산업 붕괴되지 않도록 정부와 채권단 발벗고 나서야

○ 해운산업은 국내 수출입 화물운송의 99%, 국가 전략물자 수입의 100%를 담당하는 국가 기간산업입니다. 또한 국내 항만산업을 비롯해 연관산업의 고용 창출에도 지대한 역할을 하는 산업이자, 유사시 병력 및 군수품 등 전시화물을 운송하는 제 4군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만약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면, 사실상 한국 해운산업 자체가 붕괴되는 것은 물론, 해운업과 필수불가결한 관계인 조선업, 항만업 등 연관산업의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또한 수출입기업의 물류 비용 또한 연간 4,407억원이 추가될 것이라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 한진해운은 용선료조정 및 선박금융 유예를 통해 1조2,700억원의 유동성을 조달하는 등, 채권단이 요구한 자율협약 조건을 대부분 충족하였습니다. 한진그룹 또한 이미 1조2천억원 이상의 유동성을 지원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5천억원에 달하는 자구안을 내 놓는 등 모든 방안을 강구해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 현재 해외 금융기관들까지도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지 않도록 나서고 있습니다. 국가 기간산업인 해운산업이 붕괴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정부와 채권단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