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1회째 맞는 ‘국제해양사고방지 세미나’

 
 
18개 해양단체 주최 6월 9일 부산, 300여명 참석

올해 31회째를 맞은 ‘국제해양사고방지 세미나’가 6월 9일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5층에서 국내외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료됐다.

해양사고방지 세미나는 해양안전과 관련된 국내 유일의 민간 주도 행사로서 해양수산 종사자의 자발적인 해양안전 문화의식 정착을 위해 18개 해양수산 관련 단체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이 후원하는 행사이다. 지난 1986년 첫 개최한 이래 매년 정례적으로 열려오고 있다.

이날 한국해기사협회 임재택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이 자리가 해양안전의식과 사고예방문화를 한 단계 성숙시키고 안전한 바다를 알림으로써 해양안전사상을 고취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올해 해양사고방지 세미나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영국과 중국의 해외연사를 초빙해 준해양사고에 대한 해외사례와 교훈을 서로 공유하는 등 국제적인 행사로 진행됐다. 영국, 중국 등의 해양사고 조사 우수사례 소개와 함께 △침몰선박의 위험성평가 및 현황관리를 통해 장내위해요인 제거(해양환경관리공단 방제기획팀 장우진 과장) △다중이용선박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추진(해양수산부 해사안전정책과 고준성 사무관) △원양어선 오룡호 침몰 사고 원인 및 교훈사항(해양수산부 부산해양안전심판원 이상우 서기관)이 각각 주제발표됐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한국해양대학교 박진수 교수가 좌장을 맡아 부경대학교 이인철 교수, 부산해양플랜트 이승현 책임연구원, 한국해운조합 김주화 경영지원실장, 수협중앙회 조강훈 상황실장이 토론을 벌였다.

중, 어선-화물선 ‘힛앤런’ 주의해야
영국은 1987년 ‘Herald of Free Enterprise’호의 침몰사고 이후 규제당국에서 독립된 해난사고조사기관 MAIB(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Branch)의 역할에 대해 소개했으며, MAIB에 집계되는 해양사고 건수를 통해 알 수 있듯 대부분의 해양사고가 보고되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Annabella’호의 컨테이너 붕괴사고를 예로 들며 ‘니어미스(near misses)’의 수집을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발생가능한 위험사고 보고 프로그램 ‘CHIRP Maritime’에 대해 다루었다.

중국의 Zhoushan MSA는 ‘어선과 화물선의 힛앤런(Hit and Run) 사고를 막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매년 Zhoushan 해역에서는 50% 이상의 충돌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어선과 화물선간 충돌사고가 14.4%를 차지한다. 어선과 화물선간 충돌사고는 ‘힛앤런’사례가 많아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에서는 POS SM에서 ‘사고 예방을 위한 준해양사고 보고 제도 활성화’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장기 해운불황 속에서 선사의 최우선 과제는 원가절감이며 근원적 원가절감은 사고예방임에 따라 준해양사고 관리가 필요하다. 실제 사고와 준해양사고의 발생 패턴이 유사하며, 손실이 없는 준해양사고 분석을 통한 실제 사고의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다.

2015년 발생한 준해양사고 및 사고 발생현황을 보면, 화상, 협착, 추락·전도, 낙하·비래 등이 있다. 이에 분기별 접수된 준해양사고 및 실제 발생한 사고 통계를 분석하여 사고 예방 CIC(집중점검)를 시행했다. 2016년 1분기에 추락·전도에 대한 중대재해 CIC 실시 결과 관련 사고는 0건이 발생했으며 2분기에는 협착에 대한 중대재해 CIC 항목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준해양사고의 관리 및 분석을 위해서는 본선의 적극적이고 정확한 보고가 필요하다.

1983-2015년 국내 침몰선박 2,158척
해양환경관리공단 방제기획팀의 발표에 따르면, 1983년-2015년 12월 기간 우리나라에서 침몰한 선박은 총 2,158척이다. 이중 어선이 1,752척으로 가장 많은 비중(81.2%)을 차지했으며 화물선 111척(5.1%), 예선 71척(3.3%), 기타 224척(10.4%)으로 나타났다. 침몰선박은 잔존기름 유출과 선박의 항행안전이라는 측면에서 위험하다. 동 기간 우리나라에서 침몰선박 중 관리대상 선박은 총 76척으로 집중관리대상선박이 12척, 일반관리대상선박이 64척이다.

해양수산부는 다중이용선박의 안전관리 혁신대책에 대해 발표했다. 다중이용선박은 선원을 제외한 13인 이상의 불특정 다수가 승객 등으로 승선하는 선박으로 여객선, 유도선, 통선, 낚시어선, 레저선박(요트·모터보트)을 가리킨다. 전국에 약 2,600여척의 다중이용선박이 등록, 신고돼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승무기준이 적용되고 선종에 따라 승선인원 산정방법이 상이하며, 다수의 승객을 운송하는 동일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개별법에 따라 서로 다른 안전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 유형별 사업면허 및 안전관리체계가 다원화돼 있고, 장기간 일상적·관행적 운항으로 선주와 선박운항자 및 이용객의 안전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또한 육상에 비해 작은 내수시장 규모와 열악한 통신환경으로 소형 선박용 안전설비 기술개발 투자가 미흡한 편이다.

해수부는 이에 따라 승무기준 강화, 승선정원 산정방식 개선 등 안전제도를 혁신하고, 구명설비 탑재기준 강화, 선박자동식별장치AIS 장착 및 작동의무화 등 안전설비를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안전관리 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세미나 다음날 10일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영국, 중국 등 5개 국가의 해양사고 조사기관 관계자와 민간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여하는 국제 해양사고조사 워크숍이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참가국의 준해양사고 제도 및 우수사례 △국내 유관기관의 준사고제도가 소개되고, 우리나라의 준해양 사고제도 발전방안 등이 논의됐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