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 기술개발 동시에 마케팅 활발히 전개
사업추진단 및 사업지원 TFT 구성·운영키로

100톤의 화물을 싣고 시속 250~300km의 초고속으로 주행하는 대형위그선이 올해 시제선 설계에 들어간다. 오는 2010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대형위그선은 현재 해양수산부와 해양연구원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미래형 해상운송수단 개발사업으로 고부가가치 新 해양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해양부 “10년 1조원 생산유발 3,500억원 부가가치창출 기대”
해양수산부는 위그선이 상용화되는 즉시 매출이 발생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제도정비, 승조원 양성, 마케팅, 인프라 구축 등을 병행 추진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해양부는 구랍 8일 해운업·단체 최고경영자급을 대상으로 해양부 회의실에서 대형위그선 사업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해양부 관계자는 이날 설명회를 통해 “바다의 KTX로 불리는 위그선은 일반 선박보다 몇 배 빠르고 항공기에 비해 저렴한 새로운 운송수요 창출로 동북아 해상물류시스템의 혁신이 기대된다”며 “2010년 이후 운임수입과 완제품 수출로 연평균 1조원의 생산유발과 3,500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항공기의 경우 고도상승(8~9㎞)에 따른 에너지가 다량 소비되지만 위그선은 운항고도가 낮고 표면효과를 이용하기 때문에 항공기에 비해 연료소비를 절반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항공기는 고공에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고가의 초정밀 부품이 필요하나 위그선은 비교적 저렴한 부품을 사용하므로 항공기의 1/3이하의 가격으로 건조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운항시간도 위그선은 국내항만에서 상해항까지 20시간 이상 소요되는 뱃길을 3~4시간으로 대폭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대형위그선 기술개발을 도맡고 있는 한국해양연구원 강창구 박사는 위그선의 안전성에 대해 “초정밀 레이다 및 인공위성을 활용해 장애물의 자동탐지 및 회피가 가능하며 최대 9~10m의 파고에서도 운항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해운업계 “활성화 위해서는 국제 표준화정책이 시급 과제”
정책설명회에 참석한 해운업계 관계자들은 위그선을 미래형 해상수송수단으로서 새로운 운송수요를 창출하는 해운산업의 블루오션 마켓으로 전망하고 시장 활성화를 위해 신속한 통관체제를 비롯해 포장규격, 계류시설 및 운항제도 등의 국제 표준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적극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위그선 시장화 초기단계에서 우리나라가 먼저 시범운항을 통해 타당성을 해외에 입증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해양부는 국제항로에서의 위그선 상용운항에 필요한 제반 제도·시설과 상대국과의 협력문제에 대해 정부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그선 사업추진단 산·학·연·관으로 구성
해양부는 대형위그선 상용화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 산·학·연·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추진단을 구성하고 위그선 사업지원 TFT을 운영할 계획이다. 부문별 역할분담 내용으로는 △정부(해양수산부) - 법·제도 정비, 승조원 양성, 국제협력 △주관기관 - 기본 및 상세설계, 성능최적화, 운항성능·안정성평가, 훈련 시뮬레이터 △대학 - 요소기술(제어항법시스템, 구조해석, 유체공역학 해석 등) △기업(조선업체 등) - 세제선 건조, 마케팅 등이다.

 

동아시아 등 도서지방 많은 지역 우선 투입 계획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위그선은 민수용으로는 세계 최대급으로 첫 상용 제품이 생산되면 우선 동북아(한-중-일-러)와 동남아(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항로 등 도서지방이 많은 지역의 노선과 해군 전력증강 및 국가 비상운송수단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취급화물은 기존 항공화물 일부와 급송을 요하는 공산품 이외에 활어, 과일, 채소류 등 신선도 유지가 필요한 상품이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향후에는 북유럽 및 동아시아, 북중미 지역을 대상으로 여객용 수요도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