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이후 3년만에 최대

드라이벌크시황이 사상 최악의 침체상황에 처한 가운데 세계적인 선박운항 정지를 추진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 해사신문 보도에 따르면, 최근 철강원료선(케이프사이즈벌커) 40척 정도가 운항을 멈춘 것으로 드러났다. 운항선사와 선주가 헐값의 계약을 피해하고 시황상승과 연계하고 싶은 희망이 담겨 있는 조처이다. 케이프사이즈 운항정지가 대규모로 확대되고 있는 것은 2012년 전반기에 80척에 달했던 때이래 3년만이다.

운항정지된 40척은 선원을 하선시켜 장기 운항을 중단하는 계선과 선원이 승선한 상태에서 정박한 핫 레이업, 해상에서 대기하는 드리프팅을 포함해 산출한 상태이다.

14일부로 런던시장의 케이프사이즈 주요 5개 항로 평균 운임은 전일대비 160달러 내려간 2,941달러였다. 5개항로 평균을 공표하기 시작한 지 2014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며, 최신예선 표준 코스트의 1/8에 해당한다.

운항을 중단하는 쪽이 손실을 줄일수 있는 계선의 포인트를 밑돌고 있는 수준이며 앞으로도 수개월 계속된다면 정박하게 될 것으로 업계는 전하고 있다.

이렇게 케이프사이즈 시장의 지속적인 폭락의 요인은 선주의 투매에 있다. 경영난에 봉착한 오퍼레이타에 의한 조기반환이 잇따르자 투입선을 잃은 선주가 현금 확보를 위해 헐값의 투매계약을 체결하고 있기 때문으로 지적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운항정지 선박이 증가하는 것은 헐값에 선박을 매각하기 싫은 일부 선주와 오퍼레이타들의 의사표시로 풀이된다.한 선사는 아직 계선되고 있는 운항선박이 없지만 한 건당 5,000달러 이하로 성약하지 않키로 했다고 전했다.

한편 노후선의 해체도 증가하고 있다. 2015년 케이프사이즈선박의 해체선 척수는 전년대비 3.8배 증가한 94척으로 확대됐다.

올해 1월 1일 기준, 세계 케이프사잊브 총선복은 1,631척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6척이 감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케이프 시황의 침체는 중국의 경기둔화에 따른 영향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14일부 FFA(운임선물거래)의 4항로 평균 운임은 올해 10-12월물이 7,700달러로 채산선의 반이하인 1만달러보다도 하락한 침체된 상황이다.

정선과 해체의 증가가 지속된다면 선복공급의 억제력에 의해 극도의 시황하락에 제동을 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선해놓았던 선박의 재가동에는 선저의 청소와 도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일정한 비용l 발생하지만 선박을 중단하는 움직임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