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한국무역 포트폴리오 다양화 방안에 선박수리업 선정

 “발전 가능성 크고, 항만·IT·관광 산업과 연계로 경제적 확장력 높아”
영세 수리업체 지원 세제혜택, 금융 등 제도개선 지적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가 내실형 성장기조로 전환된 가운데 한국무역이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박수리(Ship Repair) 시장의 성장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한국무역협회로부터 제기됐다.


8월 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한국무역 포트폴리오 다양화 방안: 선박수리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무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산업의 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는 선박수리 부문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선박수리업이 그동안 조선 산업의 한 부문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생산유발과 고용효과가 크고 IT산업, 관광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한 경제적 확장력을 갖춘 큰 고부가가치 부문이라고 밝혔다.


세계 선박수리 시장은 2000년대 초반부터 2008년까지 해운경기 호황과 신조선 발주 증가로 수요가 급증했으며, 금융위기 이후에도 선사들의 선박수명 연장방침에 따라 지속적인 수요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또한 선박공급 과잉으로 인한 선복량의 해상 물동량 초과로 선주들이 신규 발주보다 수리에 눈을 돌릴 가능성이 높다. 이 밖에도 선박의 의무적인 정기검사와 환경규제 강화 등의 여러 조치들도 선박수리 수요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동 보고서는 이러한 세계 선박수리 수요의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 한국의 선박수리 부문은 소규모 영세기업들에 의해 운영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기업들이 선박수리 부문의 수익성 저하를 이유로 신조선 부문으로 대거 전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선박수리 부문의 산업화를 위해 소규모 업체별로 차별화된 선박수리 기술을 통합하여 활용하고 마케팅할 수 있는 선박수리 전문단지 조성이 필요하며, 선진화된 수리기술과 납기준수, 신뢰성 등을 경쟁력으로 내세워 세계 선박수리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선박수리 부문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영세 수리업체들에 대한 다양한 세제혜택과 선박금융 지원 등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도 제기하고 있다.

 

 
 

선박수리, 대표적인 틈새시장·지속성장 가능한 新산업
보고서는 선박수리 부문을 대표적인 틈새시장이자, 지속성장 가능한 新산업으로 분류했다. 성장률 둔화라는 여건 속에서 기존 수출산업·품목의 지속적인 경쟁력 유지와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가 과제로 부각되는 만큼 선박수리업은 기존 조선산업의 하위 분야라는 인식을 넘어 독자 산업화의 가능성이 높은 고부가가치의 영역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수리분야는 노동집약적 산업의 특성을 갖고 있는 산업으로 서비스의 ‘지속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선박수리업을 단순히 기능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 부가가치를 재창조하는 산업으로 접근해 육성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며, 제품과 서비스 융합형 관점에서 현실적인 대안과 전략과제를 발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선박수리업은 다양한 산업과 전후방 연관관계를 가지는 산업 중 하나이다. 해운산업, 수산업, 방위산업 등 과는 전방 연쇄관계를 갖고, 기계 철강, 전기전자, 비철금속과는 후방 연쇄관계를 가진 산업으로 선박수리업의 활성화는 여러 연관산업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선용품공급업, 선박유류공급업, 조선기자재 산업 등의 지속적 발전에도 이바지해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노동집약적, 기술집약적 산업이라는 점이다. 이에 생산유발효과와 고용효과가 크며 반면 에너지 사용은 적은 편이다. 신조선 건조산업에 비해서도 자재비 비중은 낮고 인력비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가 안정적이고 경기변화에 둔감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혔다. IMO(국제해사기구)에 따르면, 선박은 5년에 2번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통상 2.5년 정도에 중간검사를 받고 5년이 되면 정기검사를 받는다. 또한 단기 결재로 악성 미수금이나 환율 변동에 따른 경영악화 요인이 적어 안정적인 매출·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철강 등 자재비의 비중이 신조선업에 비해 낮아 국제 원자재 시장 동향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점도 장점이다.


수리조선소 아시아 지역에 114개, 중국이 가장 많아
“선박발주·노후선박 증가, 안전·환경규제 강화로 수리 수요 높다”
연구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에서 운영중인 수리조선소는 약 224개로 아시아 지역이 114개로 50.3%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47개, 미주에 21개가 입지해 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44개로 가장 많은 수리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일본이 23개를 보유하고 있어 동북아 국가들의 수리조선소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 항로상에 있는 항만들은 선사가 선박 운항일정과 연계해 검사받을 수 있도록 수리조선소를 운영 중이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독일 함부르크항, 싱가폴 주롱항, 중국 대련항 등이 대표적이다.


선박수리 수요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상반기까지 해운 호황기에 선주들의 신조선 발주 증가로 이로 인한 선박수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선박에 대한 의무정기검사, 특정선종에 대한 운항금지조치 등 최근 강화되고 있는 환경오염 및 선박 안전관련 규제 또한 선박수리 수요 확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 선박수리업 시장 규모도 날로 커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선박수리업 시장은 2010년 기준, 200억달러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 중 아시아 비중은 50% 이상으로 추정되며, 유럽은 35%로 이 중 독일과 네덜란드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선박수리업 시장 규모는 세계 상선대가 증가추세에 있다는 바탕하에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해상운송 점유율에서 아시아 지역 점유율이 가장 높아 아시아 지역 항로를 운항하는 선박들의 수리수요도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노후선박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과 선박의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도 호재이다. 2013년 기준 선령 20년 이상 선박이 43%에 달하는 상황이며, 환경규제에서도 IMO 규제 뿐 아니라 배출통제해역(ECA, Emission Control Area), 선박평형수관리협약(BWM Convention) 발효 등 다양한 선박개조·수리, 친환경 장비 탑재 등 수리 수요가 존재한다.

 

3만톤급 수리 가능한 국내 조선소 단 1곳
싱가폴 수리조선으로 연간 5억 1천만불 매출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총 53개 조선소에서 중대형 조선소는 9개소로, 선박수리 위주로 운영되는 조선소는 오리엔트조선, 대불조선, 여수해양조선 등 3곳이다. 과거 현대미포조선은 대형선박 수리를 담당했으나 모두 신조선 사업으로 전환됐다.


한편 국내에는 80여개 수리조선소가 있으나 매우 영세한 실정으로, 대부분 수천톤급 이하의 소규모 선박을 수리하고 있다. 이 중 1~3만톤급 규모의 중형선박을 수리할 수 있는 업체는 오리엔트 조선, 여수해양조선, 대불조선, CC조선 등 4개에 불과한 상황이며, 3만톤급 이상 수리가 가능한 조선소는 오리엔트조선이 유일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국내 선사들이 자사 보유 선박을 기본 물량으로 해 틈새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선박수리업 진출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대양상선, 한진해운 등 국내 선사들은 중국에 선박수리단지를 조성한 바 있으며, 일부 선사들은 부산신항 내 선박수리단지 조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특히 부산항의 경우, 주 항로상에 위치한 중요한 항만이지만 영세한 규모의 선박수리업체가 산재해 있고 대형 수리조선소의 부족으로 이용 선박들에 대한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고 경쟁력도 약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싱가포르의 경우 주롱 야드를 중심으로 아시아 선박수리 메카로 부상하고 있는데, 연간 약 220척의 선박을 수리해 5억 1,0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수리선박 감소에도 불구하고 선박개조, LNG 운반선 등 특수선·고부가가치 선박수리에 집중해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기술 활용 선박수리 예약, 선원 레저·관광 등 연관 경제효과 커
보고서는 마지막으로 한국 선박수리업의 발전과제를 위한 제안을 담았다. 우선 동북아 3개국의 거점항만 경쟁이 격화되고 있고, 21세기 항만의 위상이 부가가치 창출능력에서 좌우되기 때문에 선박수리단지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선박수리단지 조성은 선사들에게 선박수리 및 검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 뿐 아니라 국내 건조 선박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기지로도 활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에서 건조된 선박을 한국에서 수리받고자 하는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수리전문 도크가 없고 접안 수리부두가 없어 엄청난 잠재력을 포기하고 있는 상태이고, LNG 선박의 경우 건조·유지보수 기술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지만 인프라 부족으로 싱가포르에서 대부분의 수리가 이뤄지고 있다.


선박수리 발전 방안으로는 부산항에 수리전용 부두를 건설하고, 우리나라의 강점인 IT 기술을 활용해 선박수리 온라인 플랫폼(ROP, Repair Online Platform)을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선박 입항 전 수리시기 및 내용을 미리 예약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IT 접목으로 선사와 선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선박·선원들에게 필요한 물품·서비스에 대한 정찰 가격제 시행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하역 외에 선용품 공급, 선박급유, 선박수리 기능을 갖춘 ‘원 스탑 서비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선박수리와 연계된 선용품 공급, 선박급유 등의 기능을 한데 묶은 항만단지 조성을 통해 백화점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선박수리 기간동안 선원들의 관광, 레저, 숙식 등이 가능한 종합 프로그램 마련도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동 보고서에 대해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측은 “세계 1위의 신조선 산업과 세계 5위 컨테이너항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선박수리 부문의 산업화는 조선산업의 경쟁력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