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해양플랜트 발전 포럼’

 

 

 
 

8월 9일 황주홍*우윤근 국회의원 주최로 국회도서관 회의실서 개최

 

전라남도가 해양플랜트 연구센터 구축을 위해 여의도에서 ‘해양플랜트 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8월 9일 국회의사당 국회도서관 4층 회의실에서 개최된 ‘국회 해양플랜트 발전 포럼’이 황주홍*우윤근 국회의원실 주최로 개최됐다. 이날 포럼은 전남지역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두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전라남도와 국립 목포대학교가 주관한 가운데, 이낙연 백군기 국회의원, 정순남 전라남도 경제부지사, 전라남도청 공무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전라남도는 지난 5월 정부에서 발표한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에 따라 서남권 조선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마련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해양플랜트 케이블 시험 연구센터’ 및 ‘해양플랜트지원선(OSV) 연구센터’ 구축 용역을 실시한 바 있다. 이번 포럼은 전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서남권 해양레저장비산업’ 및 해양플랜트산업 분야 시험*연구센터‘ 구축사업을 정부 지원산업으로 반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고 열린 것으로, 해양플랜트의 시장 전망 및 해양플랜트 케이블 시험평가 연구소 구축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해양플랜트 오일*가스 시추, “subsea(심해저) 기술이 핵심으로 부각”

‘해양플랜트 Subsea System의 세계시장 및 기술 전망’ 발표를 맡은 엄항섭 DNV Korea 부사장은 “오프쇼어에서의 원유 및 가스 시추작업에서 500m이내 낮은 수심의 매장량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면서, “1.000~2,500m에 달하는 심해저에서의 시추작업이 미래 해양플랜트 기술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엄 부사장에 의하면, 현재 수심별 오프쇼어 필드 중 200m 이하의 수심은 89%를 차지하고 있지만, 잠재적으로는 70%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200~499m 수심의 오프쇼어 필드는 현재 4%에서 9%로, 500~1,499m는 5%에서 14%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1,500m이상의 깊은 수심도 향후 7%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엄 부사장은 “2015년까지 subsea(심해저) 인프라 구축에 연간 28조 규모의 자금이 투입될 것”이란 말로 동 시장의 발전 가능성에 주목했다. 엄 부사장은 오프쇼어 파이프라인 시장이 향후 5년간 6%이상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보이며, “이미 7만km의 오프쇼어 파이프라인이 2007~2011년 사이에 건설됐다”고 밝혔다. 이에 기 구축된 오프쇼어 파이프라인은 물론 향후 건설된 설비에 대한 검사와 유지*보수 및 관리 사업의 성장 잠재력도 매우 크다는 의견을 밝히면서, 전남도가 계획하고 있는 해양플랜트 케이블 시험 연구센터가 잠재성이 큰 오프쇼어 파이프라인 시장과 발맞춰 크게 성장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해양플랜트의 주요 장비 중 하나인 Umbilical Cable
해양플랜트의 주요 장비 중 하나인 Umbilical Cable

“해양플랜트 파이프라인 인증*관리 시설 구축 필요”

이어 발표자로 나선 송하철 목포대학교 교수는 ‘해양플랜트 케이블 시험인증 평가의 중요성’과 ‘해양플랜트 케이블 시험평가 연구소 구축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송하철 교수는 “최근 발견되고 있는 해양 유전의 평균수심이 증가하고 있는 등 심해용 해양플랜트의 시장규모가 급성장할 것”이라며, “해저생산시스템과 해저케이블의 비중이 증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송 교수는 해양플랜트의 주요 장비 중 하나인 Umbilical Cable에 대해 설명하며, 케이블 인증센터 구축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송 교수는 “Umbilical Cable은 플랜트에서 해저 유정을 컨트롤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심해저 유전의 증가로 현재 길이가 수 km에 이를 정도로 길어지고 있어, 동 케이블이 파손될 경우 원유 생산작업이 중단되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송 교수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종 환경하중에 대한 재료시험과 피로시험 등 내구성 인증시험이 요구되고 있으며, 아직 국내에서는 동 케이블과 관련된 표준화가 전무한 상태로 국내에서의 인증센터 구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남도 ‘해양플랜트 케이블 성능시험 연구센터’ 건설 예정지
전남도 ‘해양플랜트 케이블 성능시험 연구센터’ 건설 예정지

“인증 센터 전세계 2곳 뿐, 전남도의 인증센터 구축 추진 사업성 있다”

한편 송 교수는 전라남도의 동 사업 추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전남도는 목포대학교 및 중형조선산업 지역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조선*해양플랜트 구조성능 시험인증이 가능한 전문 연구진 및 track record를 보유하고 있다”면서, “전남 조선해양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서 해양플랜트산업 허브조성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송 교수는 “해양플랜트 기자재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자재의 검증 및 시험평가 시설이 필수적인데, 세계적으로 2곳 정도에 불과해 신규 구축이 요구되고 있는 상태”라면서, “Petrobras, Shell 등 세계적인 오일메이저들이 해양플랜트 생산 전진기지인 한국에 이러한 시설이 구축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자문*컨설팅*기술이전 등 적극적인 협력 및 활용까지 제안한만큼 충분한 추진동력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송 교수는 이날 전라남도와 함께 진행한 ‘해양플랜트 케이블 성능시험 연구센터’ 구축 용역 결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계획에 따르면, 동 센터는 전남 영암군에 위치한 대불국가산업단지내에 총 3만㎡ 면적으로 약 465억원의 사업비가 책정됐으며 이 중 국비는 330억원이다.

 

연구소 운영은 지식경제부 산하 법인에 지자체, 대학, 연구소, 기업체 등 25개 내외의 기관 및 기업이 법인을 구성하며, 전문인력 및 기술을 보유한 대학 및 연구소가 위탁경영하는 체계가 제안됐으며, 연구소의 주요 연구분야로는 △유체력 계산을 위한 시뮬레이션 △해양환경조건을 고려한 Umbilical cable에 대한 전자기 분석 △Umbilical cable의 최적 설계 및 구조해석 등으로 연간 104억원의 수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