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


국산기자재, 전문인력 양성, 종합역량 확보, 클러스터 조성 계획

 

정부가 ‘해양플랜트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장기 플랜을 마련했다.


지식경제부는 5월 9일 부산 한국해양대학교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21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에 대한 보고를 통해 해양플랜트 수주액을 2011년 257억 달러에서 2020년까지 800억달러로 3배 이상 늘리고 엔지니어링, 기자재 등 국내 수행비율도 2020년까지 60%로 높이기로 했다.


이에 따른 주요 추진대책으로는 △국산기자재의 경쟁력 강화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엔지니어링 역량 확보 △프로젝트 개발에서 엔지니어링 건조에 이르는 종합역량 확보 △해양플랜트 산업의 클러스터 기반 조성 등을 골자로 하는 종합 육성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해양플랜트시장 2020년 3,200억달러까지 성장, 작년 상선규모 상회
해양에너지를 발굴·시추·생산하는 해양플랜트 시장은 2010년 1,400억 달러에서 2020년 3,20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기업의 해양플랜트 시장 매출도 지난해에만 257억 달러를 수주해 일반 상선을 능가하고 있다. 이미 대형조선소들을 향후 해양플랜트 수주에 보다 더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기본설계에 활용할 광구가 없어 엔지니어링을 수행할 수 없고, 기자재 선정권한을 가진 엔지니어링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기자재 국산화율 역시 2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국내 조선사들을 FPSO, 드릴십 등 해상플랫폼 건조에는 강점을 갖고 있지만 광구의 활용이 불가능해 시장규모가 더 큰 심해저(Subsea) 시장에는 아직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지식경제부는 집중적인 발전방안을 통해 후발 경쟁국의 추격을 뿌리치고 우리나라를 해양플랜트 강국으로 자리잡게 하기위해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주요 추진대책으로 국산기자재의 경쟁력을 확대한다. 지난 2월 기자재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해양플랜트 기자재산업 활성화대책’을 마련하고 조선소, 가스공사 등 관련 기업간 업무협약을 맺어 기자재 산업 육성의 첫 발을 디뎠다.


정부는 이를 발전시켜 요소·핵심기자재 위주로 100대 전략품목을 선정하고 요소기자재는 특수 소재와 가공기술 위주로, 핵심기자재는 IT기술의 활용과 함께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패키지형 모듈개발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한 3월 구축이 완료된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험인증센터’ 등 시업의 수요를 감안한 기자재 시험인증 기반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기자재의 납품을 위해 요구되는 수행실적(Track Record) 확보를 위해 석유공사, 가스공사 등이 발주하는 플랜트에 기술개발 기자재를 적용하고 글로벌 선도기업의 국내 투자유치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전문 엔지니어링의 역량도 지속적으로 확보한다. 엔지니어링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우선 기존 조선분야 설계인력의 해양플랜트 전환을 지원한다. 외국의 전문 교육기관을 활용하고 해외에 주재하는 한인 전문가를 단기 강사요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포함될 예정이다. 현재 조선공학 분야에 치중된 교과과정을 해양플랜트로 유도하고 엔지니어링 대학원 등을 통해 해양플랜트 석·박사 학위과정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운용중인 조선해양공학과 교과목 중 해양플랜트 비중은 11%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각종 기술개발 과제를 통해 해양플랜트에 대한 종합 역량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올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심해자원 생산용 해양플랜트의 엔지니어링 및 기자재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해저·해상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의 결과물을 우리과 확보하거나 확보를 추진중인 광구에 활용해 종합 역량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향후 석유공사가 추진하는 시추선 건조사업을 통해 국내 관련기업의 역량강화도 도모할 수 있다는 예측이다.


마지막으로 울산, 부산, 경남, 전남, 대전, 서울 등 지역별 특화된 분업구조를 통해 산업 생태계 인프라를 조성한다는 목표다. 울산은 해양플랜트 건조 및 모듈단위 제작, 부산은 부품단위 기자재 생산, 기술교류 및 인력공급, 경남은 해양플랜트 건조 및 기자재 시험인증, 전남은 해양플랜트 지원선, 대전과 서울은 엔지니어링과 인력 공급을 맡아 해양플랜트와 관련한 가치사슬을 완성하고 산업 및 연구기관이 집중된 지역은 해양플랜트 클러스터로 지정해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해양플랜트와 함께 성장하는 해양플랜트 지원선(OSV) 분야의 기초설계 능력향상 및 관련기업간의 연계를 통해 클러스터 구축으로 중소조선업체가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

 

△국산 기자재 경쟁력 확대
기술개발 확대
○‘해양플랜트기자재 기술개발 전략’ 수립·추진(’12.下)
-요소기자재(단기)와 핵심기자재(중장기) 위주로 100대 전략품목 선정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협력위원회‘ 구성·운영

 

 
 

<요소 기자재>
○극한 환경에 대한 소재·가공 관련 기술을 패키지 개발
-극지·심해저 등 특수 강관 등 다양한 소재별 전문기업 육성
○안전성 요구가 낮은 요소기자재는 ‘기술료 사업, 동남권 선도지원사업’ 등을 활용하여 단기 기술개발 추진
동남광역권 선도사업(광특)을 통해 ’12~’14년간 해양플랜트기자재 분야에 투자

 

<주요 기술개발 제품 (예시)>
 

<핵심 기자재>
○안전성 요구가 높은 핵심기자재는 ‘산업융합원천 기술개발과제’를 통해 기술개발 추진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 과제(플랜트엔지니어링)의 엔지니어링 개발사업과 연계
○IT기술을 활용하여 가상운영, 무인운영 시스템 개발하며 차별화된 차세대 해양플랜트 기술 개발
(예시) : IT융합 과제로 개발('08.3-'11.2)하여 선박의 원격운항유지보수가 가능한 최첨단 선박통신기술(SAN:Ship Area Network)을 40척 선박에 탑재 성공
○대기업은 모듈설계를 통해 설계를 주관하고 중소·중견기업의 참여를 통해 패키지형 동반성장 모델 구축

 

<주요 기술개발 제품(예시)>

 

 
 

<시험인증 기반확대>
○거제에 구축한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험인증 센터’·를 통해 기자재 성능 및 시험평가 수행, 향후 국제인증기관과 상호인증 추진
18종의 해양플랜트 기자재 성능 검증 및 시험평가 설비 구축(’12.3)
○경남 하동의 ‘해양플랜트 폭발화재 시험연구소(’11~’15)’를 차질 없이 구축, 폭발·화재시험에 대한 위험도 평가시험을 지원
○未구축 시험평가 기반시설에 대해서는 단계적으로 구축 추진(’14~)
시험평가 연구기반 시설(예시) : 극한환경 소재평가 연구, 해저 케이블 소재성능 연구 등시장진출 지원
 

<수행실적 확보>
○석유공사·가스공사· 등 공기업 발주 해양플랜트를 활용, 기술개발 기자재의 수행실적(Track Record) 확보 추진
1기의 시추선(두성호)를 운용 중이며, ’13~’19년간 시추선 2기 추가 발주 추진 중
LNG저장탱크기술을 가스선 발주에 접목시켜 LNG-FPSO 등에 반영
○자원개발 민간기업과 조선소간 협력을 통한 Track Record 확보 추진
대우인터내셔널이 개발한 미얀마 가스전의 경우 현대중공업이 참여(’10)

 

<벤더등록 확대>
○가스도입 계약의 Buying Power를 활용, 오일메이저에 벤더등록 지원
정기적인 설명회 개최 및 Contract Officer의 한국 상주 추진
○멘토를 통해 문서작업에 필요한 경험 공유 및 기술지원(’12.5~) 및 ‘벤더리스트 등록 및 기술문서 작성’ 교과과정·신설·운영(’12.6~)
플랜트산업협회의 플랜트전문인력 양성 과정(’09년부터 연간 2,000여명 교육) 활용
○국내·외 전시회 참가 지원 및 국제포럼·기술교류회 개최 등을 연계하여 발주처 및 선진기업과의 유대관계 강화
세계적 권위를 지닌 해양플랜트 기술컨퍼런스「OMAE 2016」유치 지원
발주처 및 엔지니어링 전문가 초청, ‘해양플랜트 기술교류회’ 개최(’12.11) 외국인 투자유치
○단기간내 기술 확보가 곤란한 품목에 대해서는 글로벌 선도기업의 국내 투자유치 추진
시추시스템 장비업체인 NOV는 호창기계를 인수, NOV Korea로 改名(’09.12)
지식경제부·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및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공동으로 ‘OTC 2012’ 중 주요 글로벌 해양플랜트 기업 대상 ‘한국투자설명회’ 개최(’12.4.30)

 

△전문 엔지니어링 역량 확보
<필요성>
○국내 14개의 조선·해양공학과에서 운영 중인 315개 교과목 중 해양플랜트 관련 교과목은 11.4% (36개 교과목)에 불과
조사대상(조선협회, ’10) : 국내 21개 조선·해양공학과 중 14개 대학
○국내 5개 대학 조선해양공학과의 석·박사과정 재학생 총 292명 중 해양플랜트 관련 전공자는 25%(74명)에 그침
조사대상(조선협회, ’11.8) : 서울대·부산대·울산대·충남대·인하대 등 5개 대학

<주요대책>
인력전환(조선→해양플랜트)를 위한 재직자 재교육
○외국 전문교육기관의 In-House 과정 활용
-Oil&Gas 개발 과정 교육프로그램을 플랜트 분야까지 확대
-해외 한인 전문가를 교수요원으로 활용하여 단기교육과정 운영
연간 설계인력 450여명, R&D 50여명 등 500여명의 교육수요(’11, 조선협회)
휴스턴 중심으로 한인 전문가들은 한인해양공학자협회(KOEA), 한인에너지기술협회(KEPS)를 구성하여 기술교류 및 경험전수

학부 교과과정 개편 유도
자원개발 특성화대학 중 일부에 해양플랜트분야를 연계하여 추진
○지역산업과 연계한 특성화 분야를 선정, 해양플랜트분야의 인력양성, 기술개발 등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교육시스템 개선(’12)
산학협력을 위한 지경부-교과부 MOU(‘12.5월)에 따라 광역선도사업(지경부)와 산학협력선도대학(LINC)간 연계 협력 추진

해양플랜트 석·박사 과정 설치
○채용조건형 석·박사과정을 개설,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수요에 부합하는 전문인력 양성 추진(’12~)
조선5사와 서울대는 채용조건형 석ㆍ박사 계약학과 과정 운영을 협의 중(25명 규모)
○엔지니어링분야 대학원을 통해 석·박사급 인력양성
포스텍 엔지니어링대학원은 해양플랜트·사업관리 등 5개분야에 매년 30~50명의 인력을 교육·배출 예정(’12.3~)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기능 확충
○기자재 R&D센터구축(’12~’15)을 통해 연구 및 현장인력 양성 활성화
○‘시험평가 연구기반’ 시설 등과 연계를 강화하여 시너지 효과 창출
-‘해양플랜트기자재 시험인증 센터(12.3)’, ‘해양플랜트 폭발화재 시험연구소’(’11~’15) 등

 

△해양플랜트 종합역량 확보
해저·해상 통합 시스템 개발
○심해자원 생산용 해양플랜트의 엔지니어링 및 핵심기자재 개발(’12~’17)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심해자원생산용기술개발 해양플랜트 시스템 및 핵심기자재 기술개발’ 신규 추진

 

 
 

<기술개발 내용>
○핵심 원천기술은 외국 선진기관의 전략적 기술제휴나 공동기술개발을 통해 확보 추진
노르웨이 과학기술대(NTNU) 및 연구기관인 SINTEF와 엔지니어링, 해석 설치기술분야 기술협력 추진(’12.7월~)

국내·외 보유광구에 적용
○우리가 확보한 또는 확보를 추진하고 있는 광구를 통해 프로젝트 개발에서부터 엔지니어링 및 기자재 개발까지의 종합역량 강화
국내(동해 대륙붕 6-1, 8광구) 및 해외 보유한 탐사광구(美 Ankor 등)를 대상
-해상광구 확보시 FEED 등 Total Solution 역량 축적
석유공사의 해외 자회사 중 해상광구 개발 경험이 많은 美 Ankor(멕시코만), 英 Dana(북해, 북아프리카)를 통해 해상광구 단계적 확보 예정
○석유공사가 향후 발주할 시추선을 활용하여 자원개발 경험 축적
-제2호 및 제3호 발주시 엔지니어링 및 기자재 개발 역량 강화 추진

쩊자원보유국과 국제협력 추진
○호주 등 자원 보유국과 국제협력을 통해 프로젝트 개발 경험 축적
-非메이저 자원 보유국은 프로젝트 개발 경험을 축적하고, 우리는 엔지니어링 및 기자재 개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
’12.2월부터 Woodside 등 호주의 주요 에너지기업이 함께 참여하여 운영 중인 “한-호주 에너지 및 해양플랜트 분야 기업간 기술협력위” 활용
동남아시아·서남아시아·남미 등의 국영석유가스회사(NOC)들과의 해양플랜트산업 협력 강화

 

 
 

△산업생태계 인프라 조성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발전전략 추진
○지역특성 및 산업인프라를 고려한 지역 산업발전 전략 추진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를 확대 발전시킬 지역 : 부산(인력양성), 경남하동(폭발화재시험연구), 거제(기자재시험인증), 서울(엔지니어링) 등
-기반 산업을 토대로 산업을 확대시킬 지역 : 부산(기자재), 전남럭力껭울산(해양플랜트지원선), 경남·울산(해양플랜건조) 등

 

<해양플랜트 관련 산업의 지역분포>
○지역 산업과 연구기반 시설의 광역 연계협력 네트워크 구축 추진
-해양플랜트 산업분야 지원을 위한 산학융합지구 지정 검토
○산업 및 연구기관이 집중된 지역을 해양플랜트 클러스터로 지정추진

중소조선업체 전환 지원
○해외 의존하는 해양플랜트지원선(OSV)의 기본설계 자립화 추진
-OSV의 지원 기능별 핵심 요소기술 개발 추진
-조선기자재의 OSV 맞춤형 개발을 통한 OSV시장 진입 추진
40개 주요기자재중 특수선에 적용되고 있는 공기압축기 등 17개 우선 추진
시장규모 : ’11년 66억달러 → ’20년 144억달러 (연평균 9% 성장)
○중형조선소 및 기자재기업 연계강화를 통한 클러스터 구축 추진
부산 : 조선기자재, 창원·울산 : 엔진, 거제통영·울산·목포 : 중형조선소

 

 
 

<해양플랜트지원선 (예시)>

해외 엔지니어 네트워크 활용
○오일 메이저 기업과 외국대학 소속 한인 등으로 구성된 에너지 및 해양플랜트 전문가 Pool 구성·교류
정기적인 포럼, 기술 컨퍼런스 참여, 운영

 

저작권자 © 해양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